![청년서포터즈 8기 조승연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5학년]](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207/art_17394383723758_e86f66.jpg)
【 청년일보 】 인간의 몸속에는 수많은 미생물이 공존하며, 이들은 생태계를 이루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 미생물들의 집합체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이라고 하며, 이는 장내뿐만 아니라 피부, 구강, 호흡기 등 우리 몸 곳곳에서 발견된다. 인간의 몸에는 약 39조 개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는 우리 몸의 세포 수와 비슷하거나 더 많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생물들은 인체와 공생하며 면역체계 조절, 소화 기능 보조, 영양소 합성 등의 역할을 담당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의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소화와 면역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여 영양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돕고, 유익균과 유해균의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장 건강을 보호한다. 프로바이오틱스와 같은 유익균은 염증을 줄이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주며, 이로 인해 염증성 장질환이나 대사 질환 예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마이크로바이옴의 또 다른 중요한 역할은 면역 체계 조절이다. 인간의 면역 시스템은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균과 싸우기 위해 작동하지만, 무분별한 면역 반응은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 반응을 조절하여 숙주의 면역 시스템이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돕는다. 특히, 유익균은 장 점막의 면역 세포와 상호작용하여 감염을 방어하고 과도한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건강하지 못하면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장내 유해균이 증가하면 만성 염증을 유발하여 대사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마이크로바이옴은 전신 건강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개인별로 최적의 미생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건강 관리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장내뿐만 아니라 구강 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은 치아, 잇몸, 혀 등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이는 구강 건강뿐만 아니라 전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강 내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유해균으로는 Streptococcus mutans가 있다. 이 균은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며, 이로 인해 치아의 법랑질이 손상되고 충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Lactobacillus와 같은 유익균은 구강 내 pH 균형을 유지하고 유해균의 과도한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은 치주염과 같은 잇몸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치주염은 구강 내 염증을 유발하고, 장기적으로는 치아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치주 질환이 심한 경우, 구강 내 염증이 혈류를 통해 전신으로 확산되어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이는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준다.
【 청년서포터즈 8기 조승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