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사 신탁 규모 1000조원 돌파 눈앞

등록 2020.06.18 08:46:32 수정 2020.06.18 09:00:57
정재혁 기자 hyeok@youthdaily.co.kr

968조 6천억원으로 전년比 95조 1천억원 증가..“DLF 사태 영향으로 안전자산 선호”

 

【 청년일보 】 금융사가 수수료를 받고 자산을 대신 관리·운용해주는 신탁 규모가 지난해 1000조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대규모 원금 손실을 부른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영향으로 정기예금형 신탁 등 안전자산의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특정 금융상품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신탁회사 60곳의 총 수탁액은 2018년 말보다 95조 1000억원 늘어난 968조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 증권사, 부동산신탁사가 각각 45조 3000억원, 28조 4000억원, 23조 8000억원씩 신탁 자산 규모를 불렸다. 보험사는 1년 전보다 2조 4000억원(10.5%) 수탁액이 줄었다.

 

신탁 재산별로 보면 금전 신탁이 퇴직연금 신탁(22조 1000억원)과 정기예금형 신탁(17조 9000억원)을 중심으로 46조 6000억원 늘어나 483조 9000억원을 차지했다. 재산 신탁은 부동산담보 신탁(29조 6000억원)을 중심으로 34조 6000억원 늘어 484조 5000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의 경우 파생증권형 신탁과 주식형 신탁이 각각 3조 3000억원, 1조원씩 줄어든 반면 수시 입출금식 신탁과 정기예금형 신탁은 각각 4조원, 2조원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에서도 정기예금형 신탁이 18조 1000억원(22.3%)이나 증가했다.

 

금감원은 “DLF 사태와 시장 불확실성 증가로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되고 안전자산 위주의 신탁 계약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금감원은 DLF 사태 이후 규제가 강화되면서 고난도 금융상품의 신탁 판매에 제한을 받게 된 은행들이 새로운 대체 상품을 만들어 고객 자산을 쓸어 담을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금감원은 “단기간 판매량이 급증하는 특정금전신탁상품을 감시하고 투자자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대처하는 등 시장 변화에 적시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신탁사들이 분기마다 상품별로 위탁자 유형, 위험도, 보수, 만기, 운용 방법 등을 보고하도록 업무보고서 관련 규정을 바꿨다. 개정 시행세칙은 내달 시행된다.

 

아울러 금감원은 부동산신탁사의 유동성 리스크를 수시로 점검해 과소계상 충당금에 대해서는 추가 적립을 요구하는 등 손실 흡수 및 유동성 대응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미분양 물량 증가 등으로 토지신탁 사업장이 부실해지면서 신탁사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신탁업 점유율은 은행(49.6%), 증권사(24.5%), 부동산신탁사(23.8%), 보험사(2.1%) 순이었다. 재산 유형별 수탁액은 특정금전신탁이 467조 3000억원(46.4%)이 가장 많았고, 부동산(285조 8000억원, 29.5%), 금전채권(194조 3000억원, 20.1%), 기타 순이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금융사가 받은 신탁 보수는 2조 324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414억원(6.5%) 늘었다.

 

【 청년일보=정재혁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