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토)

  • 맑음동두천 25.0℃
  • 구름많음강릉 16.2℃
  • 맑음서울 24.5℃
  • 맑음대전 24.4℃
  • 구름조금대구 25.7℃
  • 구름조금울산 20.7℃
  • 맑음광주 24.0℃
  • 맑음부산 23.1℃
  • 맑음고창 22.4℃
  • 맑음제주 22.7℃
  • 맑음강화 21.3℃
  • 맑음보은 22.9℃
  • 맑음금산 23.8℃
  • 구름조금강진군 24.4℃
  • 구름많음경주시 21.1℃
  • 구름조금거제 24.0℃
기상청 제공

고금리에 '빚' 못갚아...저축은행 부실채권 규모 급증세

캠코로 넘어간 부실채권 규모 올해만 2천786억원
작년 인수액 이미 돌파...취약차주 부실 우려 현실화

 

【 청년일보 】 올해 들어 저축은행권이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로 넘긴 부실채권 규모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중저신용자들을 위한 금융기관인 만큼, 취약차주들을 중심으로 부실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양정숙 의원실이 캠코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기준 캠코가 올해 저축은행권으로부터 사들인 무담보 채권액은 2천786억원으로 집계됐다.

 

캠코는 금융회사가 보유한 취약가계 부실채권 등을 사들여 금융시장의 건전성 제고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저축은행으로부터 인수한 무담보 채권액이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2020년 430억원 규모였던 무담보 채권액은 2021년 670억원, 작년 2천18억원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더욱이 올해 8월까지 집계된 규모(2천786억원)는 벌써 작년 인수액을 뛰어넘어 수년 내 최고액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다른 업권까지 포함한 전체 무담보 채권인수 규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잦아드는 모습과 대조적이다.

 

실제로 제1금융권과 공공기관(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 신용보증기금 등) 등으로부터 매입한 캠코의 전체 무담보 채권액은 2021년 5조원대로 급증했다가 작년 2조7천773억원으로 줄었다.

 

이 중 보험업, 여신전문업, 상호금융업, 대부업권으로부터 사들인 무담보 채권액도 2021년 3조3천165억원으로 급증했다가 작년에는 4천940억원, 올해(~8월) 1천855억원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 역시 2020년 2천400만원 수준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여전히 상당한 규모다.

 

이와 관련해 금리인상과 물가상승이 맞물려 다중채무자나 저신용자가 많은 제2금융권 이용자의 부실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상반기 저축은행 79곳의 연체율은 5.33%로 작년 말(3.41%)보다 1.92%포인트 상승했다.

 

양정숙 의원은 "저축은행권 및 보험업, 여신전문업, 상호금융업, 대부업권에서 발생하는 부실채권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은 그만큼 서민층의 경제상황은 벼랑 끝에 몰려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의 희망대로 곧 경제상황이 나아지더라도 서민층의 경제기반이 다 무너진 뒤에는 무슨 소용이겠느냐"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민생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