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부산지법 형사12단독 지현경 판사는 자신의 집 인근에서 70m가량 음주운전을 한 혐의(도로교통법 위반)로 기소된 60대 A씨에게 벌금 2천만원을 선고했다고 24일 밝혔다. 판결문을 보면 A씨는 지난 2월 28일 오후 7시 55분께 부산 금정구 한 도로에서 혈중알코올농도가 면허 취소 수준인 0.098% 상태로 승용차를 70m가량 운행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A씨는 주차 문제로 이웃과 시비하다가 출동한 경찰에게 음주 사실이 적발됐다. A씨는 법정에서 "사건 당시 막걸리를 반병 마시고 운전했고, 경찰이 출동하기 전 집에서 추가로 소주 1병을 마신 상태에서 음주 측정이 이뤄져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정확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 판사는 "피고인이 처음에는 경찰관에게 운전 사실을 부인했다가 블랙박스 영상에 찍힌 모습을 확인한 후 소주 1병 반을 마시고 운전했다고 스스로 진술한 점, 호흡 측정 후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높게 나왔다며 병원으로 이동해 채혈까지 요구했는데 이 과정에서도 추가로 음주했다는 주장을 전혀 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피고인의 진술은 신빙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A씨는 적발 당시 공무원 신분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
 
								【 청년일보 】 전남 여수경찰서는 생후 4개월 아들을 욕조에 방치해 중태에 빠지게 한 혐의(아동학대중상해)로 친모인 30대 여성 A씨를 긴급 체포했다고 23일 밝혔다. A씨는 전날 낮 12시 30분께 여수시 자신의 주택 욕실에서 생후 4개월된 아이를 욕조에 방치한 혐의를 받는다. A씨는 욕조에 빠진 아이를 뒤늦게 발견하고 119에 신고했으며, 의식불명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된 아기는 현재 스스로 숨을 쉴 수 없는 위독한 상태로 알려졌다. A씨는 아이를 욕조에 두고 물을 틀어놓은 채 잠시 자리를 비웠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병원 측은 아이의 몸에서 멍을 발견하고 학대를 의심해 경찰에 신고했는데, 이에 대해 A씨는 "식탁에 부딪힌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피해 아동보다 1살 많은 첫째 아이도 함께 양육하고 있었는데 첫째 아이에게선 학대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A씨 진술의 신빙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 A씨가 몸을 가누지 못하는 아기를 물이 있는 욕조에 홀로 방치해 둔 상황을 고려하면 아이가 사망할 경우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 혐의를 적용할 수 있을지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 청년일보 】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23일 오전 8시 8분께 서울 지하철 7호선 반포역에서 도봉산행 열차가 고장을 일으켜 운행이 지체됐다. 열차 하부에서 타는 냄새를 감지한 공사는 승객을 모두 하차시키고 열차를 차고지로 회송해 조사 중이다. 이 과정에서 지하철 간격 조정 등으로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은 것으로 전해졌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 청년일보 】 소방 당국에 따르면 21일 오전 9시 46분께 서울 중구 소공동 소재 서울센터빌딩 3층에서 불이 나 1시간 30분 만에 완전히 꺼졌다. 해당 건물은 리모델링 공사가 진행되던 중으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총 125명이 대피했다. 당국에 따르면 3명이 응급조치를 받고, 111명은 자력으로 대피했다. 14명은 연기 탓에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옥상으로 올라갔고, 당국은 이들을 무사 구조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 청년일보 】 국가 전산망의 심장부인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자원) 전산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70개에 달하는 핵심 온라인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다. 화재는 26일 오후 8시 15분경 국자원 5층 전산실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 이온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화재 발생 후 소방 당국은 리튬 배터리 화재의 특성과 더불어 데이터 장비 훼손 우려로 인해 물 대량 투입에 신중을 기하면서 진화에 난항을 겪었다. 소방관 101명과 소방차 31대가 투입되었으나, 불은 발생 후 약 10시간 만인 27일 새벽 6시 30분경에야 초진됐다. 이 과정에서 직원 1명이 경상을 입고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으며 연소가 확대되면서 배터리팩 384개 소실 됐다. 이번 화재로 대전 본원에 입주한 정부 시스템 가운데 1등급 12개, 2등급 58개 시스템 등 총 70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됐다.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중요 민원 서비스가 마비되었으며, 우체국 금융(카드, 보험, 뱅킹) 등 연계 서비스에서도 접속 장애가 보고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서버 손상이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어 서비
 
								【 청년일보 】 기상청이 26일 오전 6시 53분 1초 경남 산청군 동남동쪽 4km 지역에서 규모 2.1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진앙은 북위 35.40도, 동경 127.91도이며 지진 발생 깊이는 13km이다. 기상청은 "지진 발생 인근 지역은 지진동을 느낄 수 있음. 안전에 유의하기를 바람"이라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 청년일보 】 10일 오후 3시 30분께 경기 파주시의 한 육군 포병부대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군인 8명이 다친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 가운데 2명은 중상으로 분류됐다. 부상자 수는 추가로 늘어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 당시 해당 부대에서는 실탄을 사용하지 않고 사격 절차를 연습하는 훈련이 진행 중이었다. 이 과정에서 폭음을 내기 위한 교보재 포탄이 터진 것으로 현재까지 파악됐다. 군 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와 원인을 조사 중이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부산 다대포해수욕장에서 물놀이를 하던 50대 남성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지정 해변에서 올해 들어 처음 발생한 물놀이 사망 사고다. 23일 부산 해경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 오후 10시 20분께 다대포해수욕장에서 50대 남성이 물에 빠졌다. 현장에 있던 안전요원이 이 남성이 바다로 들어간 뒤 나오지 않는 것을 발견해 119에 신고했고, 구조된 남성은 심폐소생술(CPR)을 받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숨졌다. 이 남성과 함께 입수했던 여성은 스스로 해변으로 나와 큰 부상은 입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 해경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이번 사고가 발생한 다대포 동측 해변은 한동안 해수욕장 기능을 상실했다가 정비사업을 통해 올해 처음으로 다시 개장했다. 해당 해변에는 야간 안전요원이 배치됐지만 사고를 막지는 못했다. 한편 지난달 26일에는 부산 영도구 중리 해변에서 60대 남성이 음주 상태로 바다에 들어갔다가 숨졌으나, 당시 사고 지점은 지정 해수욕장이 아닌 비지정 해변이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경기도 용인시 남사읍의 쿠팡 물류센터에서 50대 근로자가 작업 도중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21일 경찰 등에 따르면, 지난 20일 오후 9시 11분께 해당 센터 내 냉동창고에서 물품 분류 작업을 하던 근로자 A씨(50대)가 갑자기 쓰러졌다. A씨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약 2시간 뒤 결국 숨졌다. 당시 A씨가 일한 곳은 신선식품을 다루는 작업장으로, 별도의 산업재해 사고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지병 여부 등 정확한 사인을 조사 중이다. 한편, 용인 지역에는 지난 15일부터 폭염주의보가 발효 중이었으며, 사고 당시 기온은 27도였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 청년일보 】 경북 청도군 경부선 구간에서 시설 점검을 하던 근로자들이 열차에 치이는 참사가 발생했다. 19일 경찰 및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오전 10시 50분께 청도군 화양읍 삼신리 인근 선로에서 동대구역을 출발해 진주로 향하던 무궁화호 열차(1903호)가 선로 부근을 이동 중이던 근로자 7명을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2명이 현장에서 숨지고 5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부상자 가운데 일부는 위중한 상태로 전해졌다. 사고를 당한 이들은 코레일 직원과 외부 안전점검 전문업체 소속 근로자들이다. 이들은 최근 집중호우로 발생한 경부선 남성현역∼청도역 사이 비탈면 피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육안 점검을 진행하던 중 사고를 당했다. 당시 열차에는 승객 89명이 타고 있었으나, 탑승객 중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다. 사고 직후 경부선 하행선이 일시 통제되면서 현재는 상행선을 활용해 상·하행 열차가 교대로 운행 중이다. 이로 인해 일부 구간 열차 운행이 지연되고 있다. 코레일 측은 "최근 청도 지역에 비가 많이 왔던 까닭에 사고를 당한 작업자들은 시설물 점검을 하고 있었다"며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경찰은 정확한 사고경위를 조사하는 한편 다친 근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