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8 (화)

  • 맑음동두천 23.8℃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25.0℃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30.3℃
  • 맑음울산 23.7℃
  • 맑음광주 26.0℃
  • 맑음부산 24.5℃
  • 맑음고창 22.2℃
  • 맑음제주 24.5℃
  • 맑음강화 21.0℃
  • 맑음보은 23.5℃
  • 맑음금산 25.0℃
  • 맑음강진군 25.0℃
  • 맑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전세의 월세화' 지속…서울아파트 월세 3건 중 1건은 100만원 초과

지난해 '월세'거래 늘고 전세 줄어
강남권 100만원 초과 월세 절반↑

 

【 청년일보 】 전세의 월세화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100만원 이상 아파트 고가 월세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직방은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서 제공하는 확정일자 통계(등기소와 주민센터에서 부여한 확정일자DB)를 기준으로 전세와 월세 비율을 살펴보니, 지난 2022년 51.82%였던 월세 거래가 2023년 54.92%로 3.1%p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반면 같은 기간 전세는 48.18%(2022년)에서 45.08%(2023년)로 3.1%p 감소했다.


또한 지난 2023년 전국 아파트 월세거래를 거래가액대별로 살펴보면 월세 50만원이하가 51.5%로 절반을 넘어섰다. 지난 2022년 54.2%에 비해 감소했으나 여전히 전체 거래의 과반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고가월세 시장이 점차 확대되는 분위기는 뚜렷하다. 100만원 초과 거래 비중이 지난 2023년 17.2%로 2022년 16.4% 보다 0.9%p증가했다. 


전국 아파트 10채 중 약 2채는 100만원 초과 월세를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 났고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 월세를 임대인에게 지급하는 임차인 비중이 지난 2023년 14.2%로 2022년 13.6%보다 0.7%p 증가했다.


임대료 부담이 더 큰 서울은 100만원 초과 아파트 월세거래 증가 움직임이 더 빠른 편이다. 


지난 2023년 34.5%로 2022년 31.7% 보다 2.8%p 늘어났다. 지난해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중 50만원 이하 비중은 37.6%로 가장 큰 비중을 나타냈지만 50만원 초과~100만원 이하가 27.9%,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가 23.3%로 바싹 뒤를 쫒고 있다. 


특히 200만원 초과~300만원 이하(6.6%), 300만원 초과(4.6%) 구간 등 높은 월세를 부담하는 비중도 총 11.2%로 10% 비율을 넘겼다. 지난해는 이전 해에 비해 100만원 이하 월세거래가 2.7%p 감소한 반면, 100만원 초과 월세는 2.8%로 상승세를 보인 것이다.


학군(교육) 및 고급 주거 수요가 밀집한 강남권은 지난 2023년 100만원 초과 고가 월세 거래비중이 무려 51.5%로 이미 과반을 넘긴 상황이다. 2022년 53.1%에 비해 1.7%p 수치가 줄었으나 300만원 초과 초고가 월세거래는 2022년 11.6%에서 12.2%로 0.7%p 확대했다.

 
같은 기간 노원, 도봉, 강북 등 노도강 지역의 아파트 월세시장은 50만원 초과~100만원 이하 월세거래가 2023년 53.9%로 절반을 넘겨, 지난 2022년 48.5%보다 5.3%p 증가한 모습이다. 


200만원 초과 등 높은 월세 거래비중은 0.3%에 그쳤으나 5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 100만원 초과~200만원 이하 월세거래는 지난 2022년에 비해 2023년 5.3%p, 2.6%p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주택구입 관망 흐름과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구입보다 임대차에 머무는 수요가 꾸준하다"며 "높은 전세 대출 이자 부담과 수도권 전세가격 오름세가 영향을 미쳐 보증부월세를 포함한 월세전환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 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월세화 속 월 100만원 초과 고가월세 거래 비중의 증가가 동반되고 있는 만큼 주거비 부담을 낮출 수 있는 임대주택 확대와 월세에 대한 소득공제 확대 등 변화하고 있는 임대차 거래 시장에 발맞춘 지원책의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최철호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