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5 (토)

  • 흐림동두천 22.6℃
  • 구름많음강릉 25.7℃
  • 흐림서울 23.8℃
  • 흐림대전 24.5℃
  • 구름많음대구 24.8℃
  • 구름조금울산 22.0℃
  • 구름많음광주 24.2℃
  • 구름많음부산 23.2℃
  • 구름많음고창 22.1℃
  • 구름조금제주 24.3℃
  • 흐림강화 21.0℃
  • 흐림보은 22.4℃
  • 구름많음금산 23.2℃
  • 구름조금강진군 22.7℃
  • 구름조금경주시 22.4℃
  • 구름조금거제 21.6℃
기상청 제공

동학개미 63%…"이익 공유제는 주주 재산권 침해"

주가 하락이나 배당 감소 발생 시 47.2% 집단소송 참여 의사
이익 공유제 동의, 양극화 해소 기여·고통분담 필요 등으로 답변

 

【 청년일보 】 개인주주 10명 중 6명이 이익공유제가 주주의 재산권을 침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파장이 예상된다.

 

또 10명 중 5명은 이익공유제에 따른 이익 감소로 주가 하락이나 배당 감소가 발생할 경우 집단소송에 참여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를 통해 기업 주식을 보유한 만 18세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이익공유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응답자 63.6%는 이익공유제가 실시되면 기업 이익 감소로 주가 하락이나 배당 감소 등 주주의 재산권이 침해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20대 이하(74.0%)와 30대(75.5%) 등 젊은 층에서 재산권 침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익공유제 실시로 주가 하락이나 배당 감소 등이 발생할 경우 집단소송에 참여할 의향을 묻는 말에는 47.2%에 달하는 응답자가 참여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또 기업 이익 일부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피해 계층과 공유하는 이익공유제 취지에 대해선 응답자 절반 이상(51.6%)이 동의하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30대 응답자의 비동의 비율이 80.2%로 가장 높았다.

 

 

이익공유제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로는 '기업이익 감소로 투자 등 기업 성장동력 약화'(26.4%)와 '배당감소 등 주주 재산권 침해'(23.6%)가 가장 많았다.

 

이어 '기업과 피해 계층의 비연관성'(22.1%), '외국 기업과 역차별(14.3%), '코로나19로 인한 이익만 산정 불가'(13.6%) 등의 순이었다.

 

동의한다는 이유는 '양극화 해소에 기여'(32.9%) '코로나19로 인한 고통 분담 필요'(30.5%), '취약계층 위기 심각'(26.3%),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기업 특혜 명확'(6.1%) 등이 나왔다.

 

이익공유제의 유력한 방안으로 제시되는 기금 조성에 대해서도 응답자 절반 이상(51.6%)이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익 공유제 논의가 기업의 자발적 참여와 강제적 참여 요구 중 어느 쪽에 가까운지 묻는 말에는 응답자 48.0%가 강제적 참여 요구에 가깝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