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17.3℃
  • 맑음강릉 25.8℃
  • 맑음서울 18.6℃
  • 맑음대전 18.9℃
  • 맑음대구 19.9℃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2℃
  • 맑음부산 20.9℃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9.2℃
  • 맑음강화 18.2℃
  • 맑음보은 16.6℃
  • 맑음금산 14.8℃
  • 맑음강진군 15.4℃
  • 맑음경주시 18.9℃
  • 맑음거제 17.7℃
기상청 제공

화이트바이오 산업, 정부지원 확대 필요...美와 기술격차 4년

전경련 ‘화이트 바이오산업 현황과 과제’ 분석
바이오 기술 접목된 친환경 화학·에너지 산업
韓 기술경쟁력, 美의 78~85% 수준∙3~4년 격차
전경련 "연구개발∙지원예산 확대 필요"

 

【 청년일보 】 식물, 미생물, 효소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한 친환경 화학·에너지 산업인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중요성이 주목받는 가운데, 한국의 관련 기술 수준과 연구개발의 불확실성이 높아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2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2020년 기술수준평가'를 인용해 우리나라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경쟁력이 미국의 78∼85% 수준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핵심 기술인 친환경 바이오 소재 기술과 바이오 및 폐자원 에너지화 기술 수준은 미국과 비교했을 때 각각 3년과 4년의 격차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화이트바이오는 식물 등 재생 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효소 등을 활용해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바이오 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으로, 전경련은 이 산업이 플라스틱 사용 증가 등으로 인한 환영오염을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화이트 바이오산업의 대표 제품인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의 분해 기간은 5년 이내로, 페트병(450년)이나 비닐(20년)과 비교해 폐기 후에 빠르게 분해되어 친환경적이다.

 

 

특히 2019년 기준 우리나라의 1인당 일회용 플라스틱 폐기물량은 44kg에 육박해 호주(59㎏), 미국(53㎏)에 이어 G20(주요 20개국) 국가 중 세 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업체 어드로이트 마켓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화이트 바이오산업 시장은 연평균 10.1% 성장하며 2019년 2,378억 달러(약 281조 원)에서 2028년에는 약 5,609억 달러(약 662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올해 세계 반도체 예상 매출액 규모인 5,509억 달러를 웃도는 수준이다.

 

 

또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2030년 세계 바이오 경제에서 화이트바이오 산업이 차지하는 총부가가치 비중이 레드바이오(의약·의료), 그린바이오(식품·농업·자원) 산업을 뛰어 넘어 39%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전경련은 화이트 바이오산업은 국가 친환경 경쟁력의 기반으로 중요성이 크지만,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이 취약하고 연구개발(R&D) 불확실성이 높아 정부의 정책지원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바이오프리퍼드(Biopreferred)’ 프로그램을 통해 연방정부가 앞장서서 바이오매스 기반 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인지할 수 있는 바이오 인증제와 라벨을 도입하는 등 바이오 제품 사용 촉진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프랑스는 재활용 및 재사용 플라스틱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0~2022년에 2억 유로(약 2,692억 원)를 투입했고, 2040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 제로’를 목표로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은 2035년 폐플라스틱 재활용률 100%를 목표로 해양 생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난해 12월 ‘화이트 바이오산업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화이트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가 전체 바이오 예산의 2.8% 수준인 831억원에 그칠 것으로 집계됐다.

 

때문에 전경련은 "바이오산업 전반에 대한 정부 R&D 투자 확대는 물론 화이트 바이오 분야의 지원예산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바이오와 화학 분야의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화이트 바이오 신기술의 신속한 실용화를 위한 규제 완화와 국내시장 활성화 방안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 청년일보=최시윤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