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서부발전이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들의 정서적 회복과 사회적 유대 강화를 위해 토크콘서트를 마련하고, 자립준비청년들의 건강한 자립에 힘을 보탰다. 서부발전은 지난달 30일 서울 중구에서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자립준비청년이 사회 진출 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실질적인 조언과 지지를 통해 건강하게 자립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서부발전은 ‘KOWEPO 청년자립플러스+’ 프로그램을 통해 자립준비청년의 취업과 창업 등 사회 정착을 지원하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서규석 서부발전 미래사업부사장과 조인호 서부발전 노동조합 위원장, 이재열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를 포함한 자문위원단, 협력 중소기업 대표, 청년 등 60여 명이 참석하여 소통의 장을 열었다. 토크콘서트는 ‘나의 자립 이야기’를 주제로 한 라이브 토크로 시작됐다. 자립준비청년 출신인 김성민 브라더스키퍼 대표가 연사로 나서 본인의 어려움 극복 경험을 진솔하게 공유하며 청년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어진 2부에서는 청년들이 팀별로 ‘자립 다짐 토크’를 진행하며 프로그램 참여 중 느
【 청년일보 】 청년재단은 지난달 30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제3기 NH에그테크 청년창업캠퍼스'의 수료식 및 데모데이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NH애그테크 청년창업캠퍼스'는 농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해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추진하고, 미래성장 동력인 청년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지난 6월부터 약 5개월간 진행된 이번 3기 과정에서는 해당분야 진출을 희망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창업 기초 교육, 전문가 멘토링, 실전 창업 프로젝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이날 총 82명의 청년이 이 과정을 수료했다. 행사에는 청년 당사자를 비롯해 프로그램의 공동운영사인 농협중앙회·농협은행 관계자, 밴처 투자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데모데이에서는 총 16개 팀이 지난 143일간의 교육 과정을 통해 발전시킨 사업계획을 발표했으며, MVP(Minimum Viable Product, 최소 기능 제품) 전시 부스에서는 24개 팀이 직접 개발한 시제품을 선보였다. 사업계획 발표 시간에는 ▲푸드테크 ▲IT플랫폼 ▲애그테크 등 첨단기술과 농산업을 결합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경쟁을 펼쳤다. 전문가 심사를 통해 ▲대상 1팀(밀리어트-당뇨
【 청년일보 】 한국경영자총협회는 29일 오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대공존 일자리 토론회: 정년연장과 청년의 미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최근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정년 연장과 관련,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함께 고려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정년 연장은 일할 기회의 배분, 보상의 공정성 등 세대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며 "고령자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는 동시에 청년이 일할 기회를 늘리는 균형 잡힌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대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년 연장과 세대 간 갈등을 주제로 한 주제 발표에서 중장년층의 고용을 유지하면서도 청년층 일자리 잠식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퇴직 후 재고용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2013년 입법된 정년 60세 의무화는 일자리 규모 확대 없이 장년층의 일자리 점유기간을 늘려 세대 간 일자리 갈등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연공서열형 임금 구조,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 어려움 등으로 정년 의무화를 청년층 신규 채용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퇴직 후 재고용에 대한 자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