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6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재정준칙 도입 '제동'…"향후 경기회복 지연될 수 있어"

우리나라 국가채무비율 37.2%, 순수 빚 21.2% 수준
금융성 채무보다 적자성 채무에 주목…'감당할 만한 수준'

 

【 청년일보 】 최근 정부가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의 필요성을 설명한 가운데 시행 여부는 경기 안정 후에 논의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이 나왔다.

 

우리나라 국가채무 수준이 감당할 만한 수준이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확장재정을 택한 상황에서 재정준칙을 도입하면 향후 경기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이 골자다.

 

류덕현 중앙대학교 교수는 23일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이 발간한 월간 재정포럼 12월호에서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부담 능력은 감당할 만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류 교수는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가채무비율은 37.2%이지만, 이 가운데 순수한 빚이라 볼 수 있는 일반회계 적자 상환용 국채로 환산한 국가채무비율은 21.2%"라고 설명했다.

 

그는 "국가채무를 구성하는 요소에는 일반회계 적자를 보전하기 위한 적자성 채무와 채무상환을 위한 별도의 재원 조성 없이 자체 상환이 가능한 금융성 채무가 있는데, 지난해 적자성 채무와 금융성 채무 비중은 57 대 43"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채무의 지속 가능성은 결국 세입을 통한 이자 상환이 이뤄지면서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일정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을 때 성립한다"며 "국가채무의 절대적인 규모를 좀 더 정교하고 치밀하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자 상환이 필요한 적자성 채무를 바탕으로 국가채무 부담 능력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가채무 만기와 이자 비용 역시 양호한 상황으로 판단했다.

 

류 교수는 "우리나라 국채 평균 만기가 지난 2015년 7.2년에서 2019년 9.7년으로 증가했으나 이는 최근 10년 이상 장기물 비중이 커지는 추세에 따른 것"이라고 단언했다. 실제로 지난해 국가채무 가운데 잔존 만기가 1년 미만인 국채 비중은 7.3%, 1∼3년 미만은 19.4%였다. 반면 5∼10년은 23.5%, 10년 이상은 30.8%에 달했다.

 

그는 "최근 저금리로 인해 국가채무 이자 비용도 안정화하는 추세"라며 "국가채무가 큰 폭으로 증가하더라도 국채 이자 부담은 적어도 5년 정도의 중기적 시계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지난해 우리나라의 국가채무 이자 비용은 18조원으로 전년 대비 7천억원 감소했으며, 10년물 국채 이자율은 100년 내 최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국채 외국인 보유 비중이 10%대로 선진국 평균(25.7%)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인 점을 고려할 때 급격한 자본 유출입 등이 없다면 우리나라 국채는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류 교수는 "재정준칙의 도입을 포함한 재정 건전화 논의는 향후 경기가 안정화하고 어느 정도 성장 여력이 회복됐을 때 진행하는 것이 보다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과 같은 경제적 충격으로 대규모 재정적자를 수반하는 확장재정을 채택하는 상황에서 재정준칙은 경기의 완전한 회복을 지연시킬 우려가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여러 국가에서 분식회계 등의 수법으로 재정준칙을 피해 가는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며 "현재 정부가 제안한 60%의 국가채무비율 상한선에 대한 근거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못한 점도 문제"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치적인 채무 상한선과 재정수지 적자 폭을 설정하는 재정준칙을 도입하는 것은 효과성이나 타당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했다.

 

그는 "수치적인 재정준칙보다는 현재 국가재정법상에 존재하는 여러 재정 제도를 통해 단기적으로 채무 증가 속도를 완화할 수 있는 실효적인 조치를 도입해 이를 '암묵적 재정준칙'으로 운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 청년일보=강정욱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