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발언대] 의사, 그리고 정부…그 갈등의 끝은?

등록 2024.06.02 12:00:00 수정 2024.06.02 12:00:06
청년서포터즈 7기 홍용진 171425@ggg.hs.kr

 

【 청년일보 】 의대 증원과 관련해 정부측과 의사연합 간의 첨예한 대립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그 사이에 놓인 많은 환자들이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해 큰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면허 정지 검토 등의 초강수를 예고하고 있는 가운데도, 많은 대학 병원들의 의사들, 전공의들은 의대 증원과 의사 처우와 관련한 정부의 태도가 바뀌지 않는다면 다시 병원에 돌아가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후 여러 정부의 여러 차례의 대국민 담화, 그리고 정부와 의사단체와의 수차례 협상에도 불구하고 의사단체와 정부와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으며 두 집단 간의 대립은 장기화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 속에서, 여러 사회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먼저, 줄어든 의사들로 인한 의료 공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환자 수용력을 보여주는 병상 가동률에 있어 수많은 병원들이 평상시의 40~60%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충북대병원의 경우는 70%에서 40%로 병상가동률이 떨어졌고, 심지어 어떠한 전공의도 남아있지 않아 수술을 할 수 없는 진료과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낮은 병상 가동률의 피해는, 갑자기 사고를 당한 응급환자들이 고스란히 안고 있다.


또한, 현재의 두 집단의 대립은 의료계에도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전공의들의 이탈로 남아있는 의사들이 현재 업무를 과도하게 맡고 있는 상태이며, 의사들이 부족한 상황에서 간호사들, 그리고 병원 직원들의 업무 역시 가중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공의들 및 의사들의 사직으로 자연스레 병원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아 병원의 수익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에 들어섰고, 결국 자연스레 병원의 구조조정으로도 이어져 일자리를 잃는 의료계 종사자들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의사단체 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의사들이 현장에 돌아가 의료서비스를 기존처럼 정상화하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병원과 정부 측 모두 각자가 원하는 바만 주장하기보다는, 서로가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보다 포괄적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서 공통부분을 찾아 두 주체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자세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서로의 입장을 양보하는 자세가 시급하게 선행돼야 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7기 홍용진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