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한국 사회는 이미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에는 전체 인구의 20%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평균수명의 연장은 분명 인류의 성취이지만, 그 이면에는 돌봄이라는 무거운 과제가 따라옵니다. 가족 구조는 점차 핵가족화되고, 1인 가구가 늘어나며, 전통적인 가족 돌봄 기능은 급격히 약화되고 있습니다. 결국 돌봄은 더 이상 개인이나 가정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가 함께 짊어져야 할 ‘공동의 숙제’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돌봄은 주로 가족의 몫이었습니다. 부모와 자녀, 배우자 간의 책임감이 돌봄의 기반이었지요. 하지만 가족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돌봄 공백이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치매, 만성질환, 고독사와 같은 문제들은 가족이 감당하기에는 너무 무겁고, 불안정합니다. 따라서 돌봄을 사회화하고, 국가와 지역 공동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돌봄은 단순한 ‘서비스 제공’이 아니라, 인간다운 삶을 지켜내는 기본권 보장입니다. 돌봄의 수준은 곧 사회의 품격을 보여주는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어느 사회가 노인을 어떻게 돌보는가에 따라 그 사회의 미래가 결정됩니다.
돌봄은 단순히 ‘노인을 위한 복지’가 아닙니다. 지금의 청년과 중장년 역시 시간이 지나면 돌봄의 당사자가 됩니다. 돌봄 체계가 허술하다면, 결국 우리의 미래도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돌봄은 세대 간 갈등을 줄이고, 사회적 연대를 강화하는 필수 안전망입니다.
특히 지역사회 기반의 돌봄은 초고령사회에서 더욱 중요합니다.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돌봄 서비스가 개인의 소득이나 배경에 따라 차별받지 않아야 합니다. 국가 차원에서 돌봄 제도를 정비하는 것은 물론, 지역 공동체와 민간의 협력이 함께 맞물릴 때 지속 가능한 돌봄 사회가 가능합니다.
돌봄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재정적 투자뿐 아니라 사회적 인식 전환이 필요합니다. 돌봄을 ‘부담’이나 ‘의무’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모두의 삶을 지켜내는 사회적 자산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또한 돌봄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전문성 강화도 필수적입니다. 돌봄 종사자의 처우 개선이 이루어질 때, 돌봄 서비스의 질도 함께 높아질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돌봄은 초고령사회를 지탱하는 마지막 안전망입니다. 지금 우리가 만들어가는 돌봄 체계는 곧 우리의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돌봄이 무너지지 않는 사회, 누구도 홀로 버려지지 않는 사회야말로 진정한 선진 복지국가의 모습일 것입니다.
글 / 장석영 (주)효벤트 대표
동탄 재활요양원 대표
효벤트 (창업 요양원/창업 주간보호센터) 대표
효벤트 웰스 대표
김포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외래교수
숭실사이버대학교 요양복지학과 외래교수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치매케어 강사
사회복지연구소 인권 강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노년학 박사과정
경기도 촉탁의사협의체 위원
치매케어학회 이사
대한치매협회 화성지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