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대한수면연구학회 보고에 따르면, 7시간 미만의 수면은 감기 발병 위험을 3배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6시간 이하의 수면은 관상동맥질환과 뇌졸중 위험을 각각 48%, 15% 증가시킨다고 한다. 이 외에도 근력, 지구력 저하와 인지 기능 및 기분장애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고 한다. 이를 통해 수면이 인간에게 신체적, 심리적으로 얼마나 중요한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는 '수면장애'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109만8천819명으로, 4년 전인 2018년 85만5천25명보다 28.5% 늘어났다. 2022년 연령대별 환자 비율은 60대가 23.0%(25만2천829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50대 18.9%(20만7천698명), 70대 16.8%(18만4천863명) 순으로 나타났다. 60대에서 수면장애가 많이 나타난 이유로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변화, 은퇴 등 일상의 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등으로 나타났다. '수면장애'란 수면 전 준비 시간, 수면 중, 그리고 수면 후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수면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모든 문제를 의미한다. 또한 수면장애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불면증이 있다.
【 청년일보 】 보건 의료 체계 개선을 위한 설문에서 우리나라 보건 의료 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참여자의 44.1%(복수 응답 포함)가 ‘지역 간 의료 불균형’을 지적했다. 그다음으로 ‘특정 분야 의사 부족’ (39.9%), ‘건강보험 수가체계(36.2%)’, ‘대형 병원 집중 등 의료전달체계 왜곡(17.3%)’, ‘간호 인력의 열악한 처우(9.1%)’가 뒤를 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2023년도 건강보험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시군구별 의료 이용 현황을 담은 ‘2023년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 연보’를 발간했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의사 수는 모두 16만6천197명으로 조사됐다. 이 중 서울에서 근무하는 의사는 4만6천624명으로, 전체의 28.1%로 나타났다. 인천과 경기 지역을 합치면 우리나라 의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상황이다. 반면, 의료 서비스의 절실함과 1인당 월평균 진료비는 지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서비스가 시급한 위암·간암·폐암·대장암 질환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전남으로, 인구 10만 명당 1천292명으로 추산됐다. 농촌 비중이 높은 경북 1천249명, 전북 1천212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는 유병률이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