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약자인 청년층에 주거 등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다만 초고령사회 도래와 함께 경제활동 중 고용 등의 문제에서 청년 우대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청년기본법상 청년 연령 임계점에서 정책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연령층을 중심으로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청년일보는 최근 확산하고 있는 청년연령상향과 관련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거세지는 청년연령확대 요구 (中) 청년 '가뭄' 현상에 지자체 '끌탕'···청년 연령 상향 추세 (下) 청년가장 등 다양한 상황…다양성 반영 기준 마련 관건 【 청년일보 】 초고령화 사회 도래와 함께 인구구조 등의 급속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해 각종 지원책들을 내놓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청년정책이 예기치 못한 새로운 불평등을 야기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핵심은 청년 정책의 대상이 협소하거나 불분명하다는 내용으로 주로 정부가 정해놓은 청년이라는 연령 테
사회경제적 약자인 청년층에 주거 등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다만 초고령사회 도래와 함께 경제활동 중 고용 등의 문제에서 청년 우대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청년기본법상 청년 연령 임계점에서 정책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연령층을 중심으로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청년일보는 최근 확산하고 있는 청년연령상향과 관련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거세지는 청년연령확대 요구 (中) 청년 '가뭄' 현상에 지자체 '끌탕'···청년 연령 상향 추세 (下) 청년가장 등 다양한 상황…다양성 반영 기준 마련 관건 【청년일보】 우리나라는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 문제에 직면하면서 고령 인구비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고령(만 65세 이상) 인구는 901만8천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인구 가운데 고령 인구 비율은 17.5%에 달한다. 무엇보다 각 지방자치단체의 경우엔 최근 인구소멸 시계가 빨라지고 있다. 일자리나 교통, 교육 등의 우수한 인프라가
사회경제적 약자인 청년층에 주거 등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해 사회구성원으로서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다수의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다만 초고령사회 도래와 함께 경제활동 중 고용 등의 문제에서 청년 우대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청년기본법상 청년 연령 임계점에서 정책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연령층을 중심으로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청년일보는 최근 확산하고 있는 청년연령상향과 관련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사례를 살펴보고 시사점을 제시한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또 다른 불평등의 문제'....거세지는 청년연령확대 요구 (中) 청년 '가뭄' 현상에 지자체 '끌탕'···청년 연령 상향 추세 (下) 청년가장 등 다양한 상황…다양성 반영 기준 마련 관건 【 청년일보 】 청년정책을 둘러싼 세대 간, 세대 내 불만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중장년층 사이에서는 정부의 정책이 청년에게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다는 의견을 제기하고, 청년들 사이에서는 일괄적인 청년의 기준에 따라 수혜 여부가 나뉘는 상황을 지적한다. 이에 정치권과 일부 지자체에서는 청년 기준 연령 상향을 해결책으로 내놓고 있다. 하지만 관점에 따라 다른 청년의 기준과 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