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9 (목)

  • 맑음동두천 -11.4℃
  • 맑음강릉 -7.1℃
  • 맑음서울 -10.1℃
  • 맑음대전 -7.3℃
  • 맑음대구 -6.3℃
  • 맑음울산 -5.1℃
  • 광주 -5.5℃
  • 맑음부산 -3.8℃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3.2℃
  • 맑음강화 -10.2℃
  • 맑음보은 -8.4℃
  • 구름많음금산 -9.8℃
  • 구름많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5.9℃
  • 맑음거제 -2.2℃
기상청 제공

[비수도권 청년 유출 (上)] 수도권에 쏠리는 청년들…'소멸위기' 직면한 지방도시들

학교·일자리 찾아 고향 떠나는 청년들…10년간 비수도권 이탈 청년 60만명 육박
비수도권, 저출산 심화 등 악순환 지속…전문가 "과감한 부의 재분배 필요한 시점"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의 지역 이탈이 가속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을 이탈한 20대 청년은 약 60만명에 달했다. 국내 전체 인구 중 수도권 지역 거주자 비율은 50.6%로 OECD 국가 중 1위다. 이에 지자체에서 청년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주거, 일자리, 창업 등 다방면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한 지자체의 다양한 노력을 알아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수도권에 쏠리는 청년들…'무한 후퇴'하는 비수도권
(中) 지방 인재 이탈에…지자체, 주거 문제 해결 '총력'
(下) 수도권 쏠림에 농촌 위기론 '확산일로'…지자체, 청년층 유입 촉진

 

【 청년일보 】 "누가 고향을 떠나고 싶어 하겠어요. 그런데 어떻게 합니까? 마땅한 일자리도 없는데."

 

부산시에 거주하는 20대 청년 A씨는 취업의 문턱 끝에서 결국 서울행을 결정했다. 그는 부산에서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이후 고향에서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직업을 구하고자 했지만 끝내 실패했다. 취업을 위해 그에게 가족·친구와의 추억이 현존해 있는 고향을 떠나는 일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고향을 떠나 서울 및 수도권으로 상경하는 '쏠림' 현상은 그간 지속돼왔지만, 이처럼 최근 사회적 '생존' 그 자체를 위해 타지의 문을 두드리는 청년들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013부터 2022년까지 서울·경기·인천의 20대 청년의 순이동 인구는 59만1천명이었다.

 

순이동 인구는 지역의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값을 뜻한다. 즉 10년간 수도권으로 순유입된 20대 인구가 59만명을 상회한다는 뜻이다. 특히 '취업·학업' 을 이유로 최근 10년간 비수도권을 이탈하기로 결정한 20대 청년은 60만명에 육박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10년간 경남에서 20대 10만5천명이 순유출돼 17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어 경북(-9만명)·전남(-7만6천명)·전북(-7만6천명)·대구(-6만6000명)·부산(-5만5천명)·광주(-3만4천명) 등의 순으로 20대 인구가 순유출됐다.

 

작년 11월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토의 11.8%를 차지하는 수도권 지역에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50.6%)이 살고 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20년을 기준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6개 나라 중 1위다. 이에 반해 인구 2~4위 도시의 합산 인구 비중은 중하위권에 불과하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인구 유출이 지속되자 저출산 등 지역사회의 부정적 현상도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또한 한국은행은 청년층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지역사회의 저출산 현상 심화의 원인으로도 지목하면서 "청년이 빠져나간 지역의 출산이 급감했지만, 수도권의 출산 증가가 이를 상쇄하지 못하며 전국의 출산이 감소했다"라며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출산을 늦추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청년세대가 비수도권을 급속도로 빠져 나가자 의료 서비스 등 사회 유지를 위한 인프라도 붕괴할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특히 저출산 심화 현상과 맞물린 의료 분과의 쇠퇴가 두드러진다. 2020년 기준 수도권의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1천288개소로 2011년(1천258개소)보다 연평균 0.3% 늘었지만, 비수도권은 같은 기간(931개소) 대비 0.8% 감소한 870개소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비수도권에 위치한 산부인과 의원 역시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문화콘텐츠 소비에 능숙한 청년층이 급감하자 지역사회의 문화산업 역시 뒷걸음질 치고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22년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문화콘텐츠 사업의 연간 평균 매출액은 118조4천851억원에 달했지만, 이중 87.6%에 해당하는 103조7천864억원의 매출이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지역 불균형 현상의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공격적 투자와 부의 재분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서울 소재 대학의 한 사회학과 교수는 "어느 국가나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청년 인구 쏠림 현상은 존재하지만, 한국의 경우 그 정도가 더 심각한 수준"이라면서 "과거 한국전쟁 이후 역대 정부들이 고부가 가치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나 경제적 지원을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집중했다는 점도 지역 불균형 현상과 청년세대 이탈의 큰 요인 중 하나"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한정된 물적 및 인적자원을 가지고 국가 경제를 꾸려갈 수밖에 없었던 국내 상황에서는 달리 여지가 없는 선택이었지만, 현 시점에서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창출된 부를 비수도권 지역에 재분배하려는 과감한 시도가 필요하다"라고 제언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 연구원은 "부의 분배에 관한 문제는 늘 정치적·사회적 갈등을 유발하는 민감한 주제이지만, 이제는 한국 정치권과 사회가 '국가의 생존'이 달렸다는 문제의식과 함께 이를 직시해야 할 순간이 왔다"라면서 "지역사회만이 오롯이 특화할 수 있는 경제·문화적 가치를 끊임없이 발굴하고 이를 클러스터 등의 형태로 산업화하려는 시도를 지속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