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몇 년간 청년 행복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기회 축소', '고립감',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라는 단어가 청년들의 삶에 일상처럼 따라붙는 시대가 되었다. 오늘날의 청년들은 얼마나 행복하게 살아가고 있을까. 공식 통계와 연구, 실제 청년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 현실을 비추어 본다. ◆ 청년들의 행복 실태 2024년 정부의 '청년의 삶 실태조사'에 따르면 만 19~34세 청년들이 삶에 느끼는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6.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국민 평균(6.2점)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한국개발연구원이 실시한 '한국인의 행복 조사'에서도 청년 행복지수는 6.7점 내외로 세대 간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세계행복보고서(2025)에서는 한국의 전체 행복지수가 6.038점으로 147개국 중 58위를 기록했지만, 청년 세대는 전체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 청년 행복의 현실 그러나 청년의 현실이 언제나 밝지만은 않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5월 기준 자료에 따르면, 청년 실업률은 6.6%이며 경제활동 참여율은 49.5%에 머물고 있다. 미취업 청년의 삶 만족도는 평균 3.8점 수준으로 매우 낮게
【 청년일보 】 인공지능(AI) 기술이 의료 현장에 빠르게 도입되면서, 물리치료 분야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과거 물리치료는 치료사의 경험과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에 크게 의존했지만, 이제는 AI 기술을 접목한 정밀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가능해지고 있다. AI가 의료영상, 센서 데이터, 환자 운동 패턴 등을 신속하게 분석해 보다 정밀한 진단과 맞춤형 치료계획 수립이 가능해졌다.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에버엑스는 자사 근골격계 재활 운동 디지털 치료기기 ‘모라큐어(MORA Cure)’를 개발해 상용화에 힘쓰고 있다. 모라큐어는 재활 운동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치료기기로 단계적 운동치료, 인지행동치료를 함께 제공해 환자가 꾸준히 치료받도록 도와준다. 이처럼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AI) 기반 치료기기와 프로그램이 개발되면서 물리치료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크고 작은 변화를 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진료와 방문 재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환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통해 AI가 안내하는 치료 프로그램을 따라 하며, AI는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환자를 평가한다. 실제 미국 앱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