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자립준비청년이 겪는 구조적 격차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비정부기구(NGO) 주도로 펼쳐졌다.
굿네이버스는 지난 4일 국회도서관에서 '자립준비청년 자립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 개선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상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주무 부처 간 분절된 지원체계로 일부 청년이 제도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있다"며 "보호종료 시점과 관계없이 지원이 필요한 모든 청년을 포괄하는 '단일 자립서비스 전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토론에 참여한 김윤호 자립준비청년도 "개개인의 보호 유형이나 정보 접근성, 장애 여부 등 개인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정책이 격차를 키우고 있다"며 "모든 자립준비청년이 특정 조건과 관계없이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허민숙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은 영국의 제도를 사례로 들면서 ▲자립지원 전담인력 1인당 적정 담당 인원 배치 ▲지속적·집중적 사례관리 ▲심리·정서 지원 및 법적 근거 마련의 병행 등을 제안했다.
김웅철 굿네이버스 사무총장은 "토론회가 자립지원체계의 한계를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