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코스피가 2,610대에서 강보합으로 출발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7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16.94 포인트(0.65%) 오른 2,631.71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14포인트(0.04%) 오른 2,613.48로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확대하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0.32 포인트(0.04%) 내린 745.87을 나타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2.5원 내린 1,450.4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우리금융지주의 보통주 자본비율(CET1)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소폭 상승하며 재무 건전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전날 공시한 '2024년 회계연도 사업보고서'에서 지난해 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이 12.1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실적 발표 당시 잠정적으로 내놓은 12.08%보다 0.05%포인트(p) 오른 수치다. 우리금융의 보통주 자본비율은 지난 2022년 말 11.57%, 2023년 말 11.99%, 2024년 말 12.13% 등으로 매년 꾸준히 상승해왔다. 이 비율이 12% 선을 웃돈 것은 지주 출범 후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지난해 3분기 말 11.95%에서 4분기 말 12.13%로 0.18%p 올라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중 유일하게 전 분기 대비 수치가 개선됐다. 연말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영향으로 보통주 자본비율이 하락하는 것이 자연스러웠으나, 자산 리밸런싱(재조정) 등을 통해 이를 방어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에 실적 발표 직후 다른 금융지주와 달리 외국인 지분율이 확대되고 주가가 상승세를 타는 등 투자자 기대를 받기도 했다. 우리금융은 올해 안
【 청년일보 】 한국거래소의 거래 시스템 오류로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의 주식매매거래 체결이 약 7분간 멈추는 사고가 발생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37분부터 11시44분까지 코스피시장에 전산장애가 발생해 주식 매매거래 체결이 지연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때문에 전 증권사 거래시스템에서 코스피 전 종목에 대한 시세 확인 및 주문 체결이 이뤄지지 않았다. 거래소에 따르면 11시37분7초에 코스피 종목에 대한 거래소의 매매거래 체결 시스템이 지연되는 상황이 발생했고, 이후 11시44분16초에 시스템이 복구돼 정상 작동했다. 다만 동양철관의 경우 시스템 복구 이후에도 시스템에서 호가 접수가 거부되는 오류가 지속돼 거래소는 이 종목에 대한 매매거래를 정지시킨 뒤 정확한 원인을 파악 중이다. 거래소는 정오께 시장관리상 사유로 동양철관에 대한 매매거래를 정지했다가 오후 3시부터 거래를 재개했다. 업무규정에 따라 10분간 호가 접수를 거쳐 단일가매매로 재개한 뒤 접속매매로 체결됐다. 호가접수 시간에는 기존 호가에 대한 정정 및 취소도 가능했다. 거래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날 전산장애에 대해 "동양철관 거래체결 관련 장애 발생으로 인한 거래소 매매체
【 청년일보 】 코스피가 2,610대에서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장 보다 1.65포인트(0.06%) 오른 2,612.34에 장을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16.58포인트(0.64%) 오른 2,627.27로 출발했지만 전날 급등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 출회 등의 영향으로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천416억원, 923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6천112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에도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자 지수 상승세가 약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의 저점 매수세가 유입됐으나, 차익실현 물량에 저항을 이겨내지 못하고 상승 폭을 반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종별로 보면 기계·장비(1.14%), 보험(1.4%), 제약(0.76%), 증권(0.55%) 등은 올랐고, 금속(-0.7%), 화학(-0.5%), 종이·목재(-0.36%)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03포인트(0.27%) 오른 745.54에 거래를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보다 4.2포인트(0.56%) 오른 747.71로 출발했지
【 청년일보 】 제일약품 자회사가 개발 중인 신약 후보물질이 미국 FDA(식품의약국) 희귀의약품에 지정됐다는 소식에 제일약품 주가가 장 초반 급등세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34분 기준 제일약품은 전장 대비 2천930원(28.17%) 오른 1만3천30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제일약품 자회사 온코테라퓨틱스는 항암신약 후보물질 네수파립이 FDA로부터 위암 및 위식도접합부암의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됐다고 발표했다. FDA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은 약물은 ▲신속 심사(Fast Track) ▲조건부 승인(Accelerated Approval) ▲신약허가 검토 수수료 면제 ▲R&D(연구·개발) 보조금 지원 ▲시장 독점권 연장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상승 출발해 2,620대에서 등락 중이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20.44포인트(0.78%) 오른 2,630.96을 기록하고 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6.58포인트(0.64%) 오른 2,627.27로 출발한 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94 포인트(0.40%) 오른 746.29 이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4.7원 내린 1,443.2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한국은행이 내달부터 약 10만명을 대상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실거래 실험에 나선다. 참가자들은 자신의 은행 예금을 디지털 화폐인 '예금 토큰'으로 변환한 뒤, 편의점과 카페, 서점, 마트, 온라인 쇼핑 등에서 결제할 때 쓸 수 있게 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7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BNK부산)과 오는 4월 초부터 6월 말까지 약 석 달 동안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실거래 실험 '디지털 테스트 프로젝트 한강'을 진행한다. 은행들은 현재 중앙은행에 개설한 계좌의 예금(지급준비금)을 활용해 자금을 거래하고 결제하는데, 한은과 은행권은 이번 테스트에서 분산원장 기술 바탕의 CBDC로 이 과정을 대체할 수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한은이 '기관용 디지털 통화'를 발행하면, 테스트 참여 금융기관 등은 이와 연계된 지급결제 수단으로서 토큰(예금 토큰; tokenised commercial bank deposits)을 발행하고 금융소비자가 이를 결제 등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금 토큰은 은행이 기관용 CBDC를 기반으로 분산원장 기술 등을 이용해 발행하는, 예금과 유사한 형태의 디지털 자산을 뜻한다. 실험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외국인 매수세에 힘입어 2,610대로 올라섰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장보다 44.33포인트(1.73%) 오른 2,610.69로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21.96포인트(0.86%) 오른 2,588.32로 출발한 뒤 오름폭을 키웠고, 장 내내 강세를 유지했다.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2,600선 위로 올라선 것은 지난 27일 이후 11 거래일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천173억원, 4천959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조1천822억원 순매도했다. 최근 레거시 반도체 업황의 반등 조짐이 보이는 가운데 엔비디아 개발자 회의 'GTC 2025' 기대감까지 유입되자 반도체주가 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코스피 상승 추세가 이어졌다"며 "최근 반도체 D램 가격 반등 추세로 레거시 반도체 업황의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저점매수세가 유입됐다"고 분석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9.25포인트(1.26%) 오른 743.51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5.88포인트(0.8%) 오른 740.14로
【 청년일보 】 백종원 대표를 향한 논란이 연이어 계속되면서 더본코리아가 주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07분 기준 더본코리아는 전장 대비 2.10 %(600원) 내린 2만7천950원에 거래중이다. 더본코리아는 장중 2만780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더본코리아의 약세는 최근 백 대표를 중심으로 논란이 잇따라 불거지면서다. 최근에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더본코리아가 지난 2023년 11월 홍성 글로벌 바비큐 페스티벌에서 식품에 쓸 수 없는 도구를 사용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약 분무기로 사과주스를 살포했고, 바비큐 그릴은 공사장 자재용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더본코리아는 입장문 내고“식품위생법 기준을 준수했다”면서도 “모든 내용에 대해 면밀히 다시 보고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분무기 사용과 관련해 “현행법적 규제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했으나, 관할 부서와 협의한 결과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는 안내를 받아,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더본코리아가 간장과 된장, 농림가공품의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기했다고 보고 원산지 표시 위반 혐의
【 청년일보 】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에서 거래되는 종목이 기존 10개에서 110개로 늘어난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7일 부터 넥스트레이드에서 거래될 수 있는 종목은 코스피 시장에서 상장사 55개, 코스닥시장 상장사 55개로 총 110개로 확대된다. 코스피 상장사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신세계, GS, OCI, HD현재, LG생활건강, 삼성증권 등이 추가된다. 코스닥 상장사 중에서는 스튜디오드래곤, 원익IPS, 코스메카코리아, 하나머티리얼즈 등이 추가된다. 종목이 대폭 추가되며 넥스트레이드의 거래가 본격적으로 활발해질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이번 거래 종목 확대로 시장 관심이 큰 코스피200, 코스닥150 등에 속하는 대형주 상당수도 거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출범 4주차인 내주부터는 거래종목이 총 350개로 확대된다. 코스피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은 내주부터 거래할 수 있다. 넥스트레이드 출범으로 투자자들은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주식 거래가 가능해졌다. 특히 개인투자자들을 중심으로 넥스트레이드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2,580대에서 상승 출발했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12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 보다 32.65포인트(1.27%) 오른 2,599.01을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대비 0.86%(30.67 포인트) 오른 2,588.32로 개장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32 포인트(0.33%) 오른 736.65을 나타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서울 외환시장에서 전 거래일 보다 1.8원 내린 1,452.0원에 개장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
【 청년일보 】 금융감독원이 대형 온라인 플랫폼 4곳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에 나선다. 17일 금감원에 따르면 대출상품 비교·추천 알고리즘 로직 분석을 통해 대출금리·한도 산정 왜곡, 허위·과장 광고 여부 등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아울러 알고리즘 프로그램 변경 시 내부통제 절차, 알고리즘 중요사항 변경 시 사후관리 절차 등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 중개업자 이익과 관련된 대출상품이 공정하게 반영됐는지 등 이해상충 방지 기준 준수 실태 등도 점검한다. 금감원은 향후 중·소형 판매·중개업자에 대해서도 알고리즘 점검을 확대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이해상충 발생 우려 등 취약점이 발견되는 경우 즉각 시정토록 지도할 것"이라며 "자율시정 기회 제공 이후 발견되는 불건전 영업행위에는 엄정하게 대응·조치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이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