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는 내달 1일부터 10일까지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센트럴시티 1층 '오픈 스테이지'에서 'Autumn Drive: The Mercedes Journey(가을 드라이브: 메르세데스 여정)'을 테마로 특별 팝업 전시장을 운영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팝업 전시장은 백화점 공간에서 메르세데스-벤츠를 대표하는 인기 차종을 방문 고객이 직접 가까이서 차량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특별 팝업 전시장 장소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인 '오픈 스테이지'로, 총 10일간 메르세데스-AMG G 63, 메르세데스-마이바흐, The new E-Class 등 총 3대가 전시된다. 방문 고객이면 누구나 차량을 직접 체험하면서 메르세데스-벤츠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품격있는 디자인을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다. 행사 기간 동안 차량을 계약한 모든 고객에게는 메르세데스-벤츠 트롤리백을 증정하고, 차량 출고 고객에게는 메르세데스-벤츠 골프백 세트를 제공한다. 한성자동차 김마르코 대표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방문 고객에게 메르세데스-벤츠의 품격과 혁신적인 럭셔리 성능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했다"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기아가 미래 전기차 배터리 경쟁력 확보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기아는 현대제철,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양극재 기술 개발 과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LFP 배터리 양극재 제조 시 전구체1 없이 직접 재료를 합성하는 기술 개발을 목표한다.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지원하는 ‘LFP 배터리 기술 개발’ 과제로 총 4년 동안 진행된다. 전날 대전광역시 동구 선샤인호텔에서 열린 행사에는 현대차·기아 전동화구동재료개발실 정순준 상무, 현대제철 선행개발실 임희중 상무, 에코프로비엠 연구기획담당 서준원 전무 등이 참석해 각 사 연구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일반적으로 LFP 배터리의 양극재는 인산염, 황산철 등을 합성한 전구체에 리튬을 첨가해 생산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직접합성법은 별도의 전구체를 제작하지 않고 인산, 철(Fe) 분말, 리튬을 동시 조합해 양극재를 만드는 기술이다. 전구체를 만드는 단계가 삭제돼 공정 중 발생하는 유해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생산 비용 또한 절감이 가능하다. 직접합성법을 통한 효율적인 양극재 생산을 위해서는 불순물이
【 청년일보 】 내일부터 서울 강남구 일대에서 국내 최초로 심야 자율주행 택시가 운행을 시작한다. 세계에서도 가장 복잡한 도로의 하나로 손꼽히는 강남·서초 도심 일대에서 첨단교통기술 실증 무대가 펼쳐지는 것으로 서울시는 자율주행 택시의 대중화를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오는 26일부터 강남 일대 자율주행 자동차 시범운행지구에서 국내 최초로 심야 자율주행 택시 무료 운행을 시작한다고 25일 밝혔다. 내일부터 밤 11시부터 새벽 5시 사이 강남에서 자율주행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운행구간은 우선적으로 강남구 역삼·대치·도곡·삼성동과 서초구 서초동 일부 지역으로, 자율주행 택시 3대가 봉은사로·테헤란로·도곡로·남부순환로·개포로·강남대로·논현로·언주로·삼성로·영동대로 일부 구간을 달린다. 내년 상반기 논현·신사·압구정·대치동까지 운행구간을 넓히고 차량 대수도 수요와 택시업계 의견, 자동차 수급 여건 등을 고려해 늘려나갈 계획이다. 자율주행 택시는 노선이 정해져 있지 않고, 이용객의 요청에 맞춰 출발지와 목적지에 따라 실시간 최단 경로를 찾아 운행한다. 이용 방법은 일반 택시를 호출하듯 카카오T를 이용해서 부르면 된다. 출발지와 목적지 모두 자율주행 택시 운행 구역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는 전동화 비즈니스 플랫폼인 ST1의 샤시캡과 특장 하이탑 모델을 25일 출시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 4월 ST1의 물류 특화 모델인 카고와 카고 냉동을 출시한데 이어 이번 신규 모델을 출시함으로써 ST1의 전체 라인업을 완성하게 됐다. ST1 샤시캡(Chassis-Cab)은 현대차 소형 상용차 최초의 전동화 샤시캡 모델로 차량의 뼈대인 샤시와 캡(승객실)만으로 구성됐다. 특히, 캡 뒤쪽에 적재함이 없어 고객 비즈니스에 맞춰 다양한 특장 모델을 제작할 수 있다. ST1 특장 하이탑은 샤시캡에 적재함을 장착해 물류 및 배송 사업에 특화시킨 모델로, ST1 카고 대비 가격을 낮추고 적재 용량을 늘려 경제성을 높였다. 현대차는 ST1 샤시캡과 특장 하이탑에 특화 사양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기술을 탑재했다. 플러그 앤 플레이는 ST1 내∙외부에 별도 커넥터를 구성해 고객사가 특장 차량에서 차량 전원, 도어 제어 등을 비즈니스에 맞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이다. ST1 샤시캡과 특장 하이탑은 모두 76.1kWh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1회 충전 주행 가능 거리는 환경부 인증 기준 샤시캡이 327
【 청년일보 】 국산 전기차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내수시장에서는 소형 전기차를, 해외시장에서는 대형 전기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8월 내수 시장에서 대형 전기차(수입차 제외)는 총 2천477대 팔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판매량(8천347대) 대비 70.3% 감소한 수치다. 국내에 출시된 대형 전기차는 제네시스 GV60·G80 전동화 모델·GV70 전동화 모델과 기아 EV9 등이 있다. 이에 반해 소형(경형 포함) 전기차의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1∼8월 8천293대에서 올해 1∼8월 1만9천103대로 130.4% 급증했다. 소형 전기차는 현대차 아이오닉·코나·캐스퍼EV, 기아 소울EV·니로EV·EV3 등이 해당한다. 이외에도 중형 전기차(아이오닉5·아이오닉6·EV6·볼트EV·코란도EV·토레스 EVX)는 국내시장 판매량이 같은 기간 3만3천48대에서 2만5천250대로 23.6% 줄었다. 아울러 수출에서는 반대 양상이 관측됐다. 올해 1∼8월 대형 전기차 수출 대수는 2만3천78대로 작년 동기(1만81대) 대비 2배 넘게(128.9%) 증가했다. 반면 소형 전기차 수출 대수는 지난해 1∼8월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가 첨단 전동화 기술을 집약한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IONIQ 5 N, 아이오닉 파이브 엔)'의 연식변경 모델 '2025 아이오닉 5 N(이하 아이오닉 5 N)'을 24일 출시했다. 아이오닉 5 N은 고성능 전기차 전용 사양에 고객 의견을 반영한 신규 기능을 추가하고 더욱 편리한 차량 이용 경험을 제공하는 사양을 기본화해 상품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현대차는 기존 아이오닉 5 N에 탑재해 원활한 드리프트 주행을 돕는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N Drift Optimizer)'를 더욱 정교화 했다. 차량거동과 노면변화 등 드리프트 상태 판단을 위한 차량신호 모니터링 로직을 개선하고 기존에 선택할 수 없었던 제어 단계를 10단계로 세분화해 운전 실력에 맞는 드리프트 보조 수준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차량 자세 제어(VDC)를 최소화하고 구동 토크를 선형적으로 조절해주는 10단계(PRO 모드)는 숙련된 운전자가 보다 자유롭게 드리프트 주행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아울러 현대차는 아이오닉 5 N의 가상 변속 시스템 'N e-쉬프트(N e-Shift)'에 '다운 쉬프트 메모리' 및 '다운 힐 어시스트' 기능을 추
【 청년일보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지난 19일(현지시간) 체코 오스트라바시 인근 노소비체에 위치한 현대자동차 체코공장(HMMC)을 방문해 유럽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미래성장 전략을 모색했다. 22일 현대차에 따르면 중국에 이은 세계 2위 전기차 시장인 유럽은 최근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전동화 속도 조절에 더해 독일, 영국 등 주요국의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유럽 시장 전기차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 회장은 급변하고 있는 유럽 자동차 시장의 이 같은 상황을 주시하고 유럽 역내 현대차그룹의 유일한 EV 생산거점인 현대차 체코공장에서 현지 주요 사업 현안을 점검하며 새로운 미래성장 해법을 모색했다. 또한 본격적인 전동화 시대를 대비해 스마트 제조 플랫폼 구축을 가속화하고 있는 체코공장 생산라인을 직접 둘러보고 임직원들을 격려했다. 정 회장은 임직원들에게 추석 인사를 전하고 "체코공장 임직원들의 헌신과 전문성, 강력한 지원에 감사드린다"면서 "체코공장은 친환경 모빌리티 비전과 기술을 위한 미래 투자의 핵심 거점으로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현대차그룹의 지속적인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 체코공장은 현대
【 청년일보 】 제네시스는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이하 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GV70와 GV70 전동화 모델이 최고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이하 TSP+)' 등급으로 상향됐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발표로 총 7개 차종이 TSP+에 선정된 제네시스는 올해 강화된 기준으로 평가받은 자동차 브랜드 중 가장 많은 TSP+ 선정 모델을 보유한 브랜드로 등극하는 영예를 안았다. 제네시스는 올해 2월 ▲GV60 ▲G80 전동화 모델 ▲GV80, 올해 4월 ▲G80 ▲G90에 이어 이번 ▲GV70 ▲GV70 전동화 모델까지 강화된 충돌평가서 TSP+ 등급을 받으며 다시 한번 최고 수준의 충돌 안전 및 예방성능을 입증했다. 이번 충돌평가 결과는 올해부터 더욱 강화된 평가 기준을 충족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한다고 제네시스는 밝혔다. 최고 안전성을 나타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양호한 수준의 성적을 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매긴다. 올해부터 강화된 충돌평가는 뒷좌석 탑승객 보호와 보행자 충돌 방지 시스템에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돼 우수 등급을 획득하기가 어려워졌다. 전면 충돌(moderate front overlap) 평가에는 뒷좌석 더미(인체
【 청년일보 】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4년간 전기자동차 관련 소비자 민원이 8배 넘게 늘었다고 20일 밝혔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 의원이 이날 한국소비자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정거래위원회의 통합콜센터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지난해 전기차 민원 상담사례는 총 709건으로, 2019년(82건) 대비 약 8.64배 증가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민원 접수는 549건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소비자 민원을 유형별로 나누면 품질 관련이 856건으로 가장 많았고, 애프터서비스(A/S) 불만(597건), 계약불이행(375건) 등이 뒤를 이었다. 피해구제 사례도 2019년 5건에서 2023년 55건으로 늘었다. 올해는 15건이었다. 전기차 관련 위해정보 접수는 2020년 101건에서 2021년 52건, 2022년 25건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 144건, 올해 8월 기준 226건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이 의원은 "인천 전기차 화재 사고 이후 소비자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지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규제는 미비하다"며 "전기차 안전 확보를 위한 대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원빈 기자 】
【 청년일보 】 앞으로 항공권을 예매하고도 탑승하지 않았다면, 운임에 포함된 여객 공항 사용료를 환급받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항공권을 예매했으나 취소없이 항공권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도(미탑승 승객) 항공권에 포함된 여객공항사용료를 환급 받을 수 있도록 공항시설법 개정안을 마련해 오는 20일부터 40일간 입법예고한다고 19일 밝혔다. 현재 공항시설법령상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는 '공항을 이용한 자'에게만 여객공항사용료를 징수할 수 있으며 항공사가 이를 징수 대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항공권 취소 없이 미탑승시에는, 여객공항사용료 환급을 청구할 수 있는 공항시설법상 권한이 없어 항공사 잡수익으로 관리되고 있다. 미탑승객의 경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권고 약관에 따라 통상 1년내 개별 항공사별로 항공운임 및 여객공항사용료 환급 요청 가능하다. 이번에 마련된 개정안은 먼저, 항공권 취소 없이 미탑승한 경우에도 5년간(탑승 예정일 기준) 여객공항사용료를 환급 청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아울러, 이를 국민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환급 가능 기간 내에 해당 사실을 안내하도록 제도도 마련한다. 5년간 여객공항사용료를
【 청년일보 】 현대차 체코공장이 최근 유럽 중동부를 강타한 폭풍 '보리스'의 피해가 집중된 현대차 체코공장 인근 지역인 모라비아실레시아 지역을 돕기 위해 1천만 코루나(한화 약 6억원)를 현지 비영리 단체인 '피플 인 니드'에 기부했다. 18일 현대차 체코공장에 따르면 성금 지원 외에 오는 10월 8일까지 별도의 기부 사이트를 활용해 공장 직원 등의 자발적인 모금을 독려, 비영리단체를 통해 피해지역에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홍수 피해 지역의 구호 활동에 활용할 수 있도록 4륜 구동 투싼 3대와 i30 2대 등 총 5대의 차량도 제공했다. 2020~2021년에는 코로나 확산과 관련해 정부에 성금과 예방 물품 등을 기부하고 체코 내 최초로 민관합동 백신접종 센터를 운영했으며, 2021년에는 체코 남(南) 모라비아 지역의 허리케인 피해 구호 성금 기부 및 차량 지원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이 외에도 현대차 체코공장은 체코 경제·산업·사회적 영역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일으켰다. 현대차는 체코의 비영리 단체인 '체코 국가 품질상 위원회'가 산업, 공공 혁신 3개 분야에서 해당 기업의 품질 프로제스, 품질 만족도, 생산성 등 품질경영과 관련된 제반 요소를
【 청년일보 】 최근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 속에서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이 전기차(EV) 중심으로 재편되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기아의 EV3와 현대자동차의 캐스퍼 일렉트릭이 잇달아 출시되면서 전기차가 소형 SUV 시장에서 중요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다. 18일 국내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8월 국내 소형 SUV 판매량은 총 1만6천296대로, 이 중 전기차는 35.6%인 5천808대에 달했다. 이는 전년 동월의 전기차 비중(9%)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로, 전기차가 소형 SUV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가파르게 상승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특히 EV3와 캐스퍼 일렉트릭의 인기가 눈에 띄었다. EV3는 7월 출시 첫 달에 1천975대가 판매된 데 이어, 8월에는 4천2대가 팔리며 시장의 관심을 증명했다. 캐스퍼 일렉트릭 역시 8월 한 달 동안 1천439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에 강하게 자리매김했다. 이 두 차량은 지난달 전기차 판매 순위에서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보급형 전기차의 성공은 차량 가격 부담을 줄여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간 결과로 분석된다. 전기차의 보급 확대와 함께 소형 SUV 시장도 다시 활기를 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