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알뜰폰의 끝없는 추락"....두 자릿수 점유율도 '위태'

41개월 만에 점유율 10%대로 하락
요금·단말기 경쟁력 낮아

 

【 청년일보 】 5G 이동통신의 대중화와 통신비 인하를 견인해야 할 알뜰폰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다.

 

최근들어 두 자릿수 점유율도 위협받으며 소비자 선택 폭이 좁아지고 있어 가계통신비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3월 알뜰폰 가입자 수는 756만 3580명으로 전월 761만 1640명보다 4만8060명(0.6%) 감소했다. 거의 1년 가까이 매달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알뜰폰의 이통시장 내 점유율도 지난해 6월 11%대로 떨어졌으며, 지난 3월 10.9%로 11%선도 무너졌다.

 

알뜰폰 점유율이 10%대까지 떨어진 것은 2016년 10월 이후 41개월 만이다. 이와 같은 추세가 지속될 경우 두 자릿수대 유지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알뜰폰의 부진은 5G 서비스 대응 실패로 판단된다. 3월 기준 알뜰폰 5G 가입자는 754명에 불과했다. 이통 3사가 5G 고객 500만명을 돌파할 동안 알뜰폰은 5G 시장에 사실상 진입조차 못 하고 있는 것이다.

 

업계는 알뜰폰이 소비자를 끌어들일 만한 5G 요금제와 기기 모두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최근 들어 알뜰폰 업체마다 5G 요금제를 새로 내놨지만, 여전히 알뜰폰답지 않게 비싸다는 평가가 많다.

 

알뜰폰 업체들이 기존 통신 3사로부터 도매로 요금제를 공급받는 구조 상 통신 3사의 5G 요금에 알뜰폰 요금도 연동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울러, 여전히 5G 단말기가 LTE 단말기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도 알뜰폰 업체에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요금뿐 아니라 단말기 가격도 중시하는 알뜰폰 이용자 특성상 중저가 단말기를 자급제로 저렴하게 구매해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중저가 5G 단말기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서 이들 이용자를 끌어들일 요인이 없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렇지 않아도 5G 요금제가 비싸다는 불만이 많은데 알뜰폰마저 요금이 싸지 않고 단말기도 부족해 소비자 선택 폭이 크게 줄었다"며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획기적 정책 없이는 5G 활성화나 가계통신비 부담 완화 모두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장한서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