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의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투싼이 올해 중반 국내 및 현대차그룹 차종 중 세 번째로 누적 판매 1천만대 대기록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20일 현대차 IR에 따르면, 2004년 3월 첫 출시된 투싼은 올해 1월까지 글로벌 시장에서 총 963만9천991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투싼이 63만4천294대 판매된 점을 감안하면, 올해 중반에는 누적 판매 1천만대 돌파가 확실시된다. 특히 투싼은 국내 SUV 모델 가운데 처음으로 1천만대 판매를 달성하는 차량이 될 전망이다. 해외 판매 비중이 90%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지난해 투싼의 해외 판매량은 57만9천37대로, 이중 미국 시장에서만 20만9천624대가 팔려 현대차 차종 중 판매 1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 내에서는 아반떼(1천553만1천143대)와 액센트(1천44만3천452대)에 이어 세 번째로 1천만대 판매를 달성하는 모델이 된다. 업계 관계자는 "투싼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한 준중형 SUV 차급에서 폭스바겐 티구안, 도요타 RAV4 등과 경쟁하며 상품성을 입증했다"며 "국내 SUV 최초로 1천만대 판매를 달성하는
【 청년일보 】 국내 최대 모터쇼인 '서울모빌리티쇼'가 올해로 30주년을 맞아 사상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올해 서울모빌리티쇼는 자동차를 넘어 다양한 모빌리티 산업의 혁신과 미래를 경험할 수 있는 자리로, 업계와 관람객들의 높은 관심을 모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는 19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전시회에 12개국 451개 기업이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다 참가기업 수로, 올해 예상 관람객은 6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강남훈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장은 "올해 전시는 모빌리티의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로, 육상, 해상, 항공을 아우르는 혁신 기술이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현대자동차, 기아, 제네시스, 중국 BYD, 영국 로터스 등 12개 완성차 브랜드가 참여한다. 기아는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라인업을 선보이며, 모트렉스는 현대차 전동화 상용 플랫폼 'ST1'을 활용한 PBV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다. 올해 한국 승용차 시장에 진출한 BYD는 '아토3'에 이어 중형 전기 세단 '실'을 선보인다. 현대차는 신형 수소전기차와 함께 제네시스 신형 전기차를 최초로 공개하며, BYD는
【 청년일보 】 메르세데스-벤츠 공식 딜러 한성자동차가 C-클래스 라이브 커머스 방송으로 고객과 실시간 소통에 나선다. 한성자동차는 오는 20일 오후 8~9시까지 1시간 동안 한성자동차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한성 라이브' 방송을 통해 메르세데스-벤츠 C 200 모델 소개와 함께 차량 구매에 대한 실시간 소통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한성 라이브'는 유튜브 생방송을 통해 메르세데스-벤츠 C 200의 매력을 영상을 통해 생동감 있게 전달하면서, 고객과 실시간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획했다. 방송 중에 제공하는 링크를 통해 상담 신청 후 3월 내 C 200 차량을 출고하는 고객에게는 기본 메르세데스-벤츠 3월 공식 프로모션에 ▲한성자동차 AS 보증 연장 1년 ▲평생 무료 엔진오일 프로그램 ▲메르세데스-벤츠 골프백 세트를 추가로 증정한다. 또한, 방송 링크를 통해 C 200 외 다른 메르세데스-벤츠 모델을 구매하는 고객에게도 3월 공식 프로모션과 함께 메르세데스-벤츠 골프백 세트를 제공한다. 이에 더해 방송 링크 상담 신청 후 3월 내 차량을 출고한 모든 고객 중 3명을 추첨해 '조선팰리스 서울 강남 패키지'를 증정하는 특별 이벤트도 진행한다. '한성 라이
【 청년일보 】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액이 처음으로 60억달러를 넘어섰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8일 발표한 '2025년 2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2월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한 60억7천만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2월 중 가장 높은 실적이다. 수출 물량도 23만2천978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3%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북미 수출이 31억8천만달러로 14.8% 늘었으며, 유럽연합(EU) 수출은 8억1천만달러로 22.6% 증가했다. 아시아와 중동 시장에서도 각각 42.3%, 38.2%의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산업부는 아시아 시장에서의 중고차 수출 증가가 전체 실적을 끌어올린 요인 중 하나로 분석했다. 업체별 실적을 보면, 현대차가 9만6천152대로 18.4% 증가했고, 기아는 9만1천561대로 19.5% 늘었다. 중형 3사 중에서는 한국지엠이 3만8천176대를 수출하며 27.7% 증가했지만, KG모빌리티(5천630대, 0.9% 감소)와 르노코리아(1천218대, 76.0% 감소)는 부진했다. 한편, 1~2월 누적 자동차 수출액은 110억6천만달러로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자동차 수
【 청년일보 】 국내 자율주행 스타트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가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이 발표하는 인사이트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17일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가이드하우스가 발표하는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Guidehouse Insights)의 2024 자율주행 기술 순위(2024 Automated Driving Leaderboard)에서 세계 11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가이드하우스는 세계 4대 회계법인 PwC가 공공부문을 분사해 설립한 글로벌 컨설팅 기업이다. 지난 2015년부터 매년 전 세계 자율주행 기업의 전략적 방향성과 실행 역량을 평가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는 지난해 13위로 첫 진입한 데 이어 올해 11위로 두 계단 상승하는 쾌거를 거뒀으며, 한국 자율주행 기업으로는 2년 연속 유일하게 순위에 진입해 한국 자율주행 생태계를 선도하는 대표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순위 상승은 평가대상이 전년도 16개사에서 올해 20개사로 확대된 가운데 거둔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가이드하우스 인사이트는 대형 트럭 및 화물 자율주행 기업까지 영역을 확대, 글로벌 자율주행 리딩
【 청년일보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올해부터 기아에서 보수를 받게 됐다. 지난 2009년 이후 약 16년 만이다. 송호성 기아 사장도 대표이사로 재선임됐다. 기아는 14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제81기 주주총회를 열고 정의선 회장과 송호성 사장을 사내이사로 재선임하고, 이사 보수 최고한도액을 기존 80억원에서 175억원으로 올리는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을 의결했다. 이사 보수한도액이 총 95억 증가한 것은 올해부터 정 회장의 보수가 포함되기 때문이다. 정 회장은 그동안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 보수를 받았지만, 등기임원을 맡고 있었던 기아에서는 지난해까지 보수를 수령하지 않았다. 또 지난 2020년부터 기아를 이끌어온 송 사장도 3년 임기로 대표이사에 재선임됐다. 송 사장은 지난해까지 기아의 최대 실적 행진을 지휘하며 매출액 100조원 첫 돌파 기록을 세웠다. 이 밖에도 이날 기아 주총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 대표로 옮긴 주우정 전 부사장을 대신해 재경본부장을 맡은 김승준 전무가 사내이사가 됐다. 신현정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도 사외이사로 재선임됐다. 아울러 기아는 이날 정관 일부 변경의 건도 통과시켰다. 사업목적에 '부동산 개발업' 추가됐는데
【 청년일보 】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이하 IIHS)'가 현지시각 13일 발표한 충돌 평가에서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이하 TSP+)' 등급 11개, '톱 세이프티 픽(이하 TSP)' 등급 1개 등 총 12개 차종이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그룹 중 최다 선정으로, 브랜드별로는 현대차·기아가 전체 2위와 7위, 제네시스는 고급 브랜드 1위를 차지했다. TSP+ 등급에는 ▲아이오닉 5 ▲아이오닉 6 ▲코나 ▲투싼 ▲싼타페 등 현대차 5개 차종과 ▲GV60 ▲GV70 ▲GV70 전동화 모델 ▲GV80 등 제네시스 4개 차종, ▲EV9 ▲텔루라이드 등 기아 2개 차종이 이름을 올렸으며, TSP 등급에는 제네시스 G90가 선정됐다. 특히 현대차 투싼과 제네시스 GV70·GV80는 지난 2021년부터 5년 연속 TSP+를 획득했으며, 기아 텔루라이드는 2019년 북미 시장 첫 출시 이후 7년 연속 TSP+ 또는 TSP에 선정되며 뛰어난 안전성을 입증했다. IIHS는 충돌 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
【 청년일보 】 KG 모빌리티(이하 KGM)가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한 액면가 조정 방식의 무상감자를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경영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KGM은 지난 10일 이사회를 통해 결손금 보전 목적으로 액면가 5천원의 보통 주식 1억9천640만4천254주를 1천원으로 감액하는 무상감자를 진행하기로 결정하고, 이를 통해 자본 효율성을 높이고 재무 안정성 확보를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감자 결정으로 KGM 자본금은 기존 9천820억2천127만원에서 감자 후 1천964억425만4천원으로 80% 감소하게 된다. 액면가만 감액하는 것으로 감자 전후 발행 주식 수와 자본 총계는 변동되지 않는다. 이번 감자 결정은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것으로, 감자를 통해 차익만큼 결손금을 보전할 수 있어 과거 쌍용자동차에서 기업회생절차 종결 시 해결하지 못한 누적 결손금 1조1천325억원은 모두 소멸하게 된다. 특히 누적 결손금이 해소되고 꾸준한 실적 개선이 이루어져 배당 가능한 이익이 실현되면 궁극적으로 배당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주주들의 가치 제고 및 주주 환원 정책의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무
【 청년일보 】 국토교통부는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한국토요타자동차, 스텔란티스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11개 차종 1만5천671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13일 밝혔다. 벤츠 S580 4MATIC 등 2개 차종 4천289대는 엔진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지적돼 지난 7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폭스바겐그룹의 아우디 Q4 40 e-tron 등 2개 차종 4천226대는 브레이크 제어장치 소프트웨어 오류로 기어 위치가 계기판에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발견돼 지난 11일부터 시정조치가 진행 중이다. 도요타 시에나 하이브리드 등 2개 차종 2천722대는 3열 좌석 등받이 고정 볼트 체결 불량에 따른 안전기준 부적합으로 오는 17일부터 시정조치에 들어간다. 또 캠리 등 3개 차종 1천168대는 연료펌프 부속품 제조 불량으로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어 지난 6일부터 시정조치를 하고 있다. 스텔란티스 크라이슬러 300C 1천731대는 고압 연료펌프 부속품의 내구성이 부족해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나타나 지난 10일부터 시정조치를 진행하고 있다.
【 청년일보 】 인구 고령화 및 사회구조 변화 속에서 국내 자동차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여성과 고령층의 점유율이 확대되면서 자동차 시장에서 이들의 영향력이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13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인구·사회구조 변화와 국내 자동차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15∼2024년 여성의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은 2.8%로 남성(1.0%)보다 1.8%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여성은 증가하는 경제활동 참가율 등의 영향으로 8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1인당 등록 대수 증가율이 남성보다 높았다. 이에 남녀 1인당 등록 대수 비율은 지난 2015년 32.4%, 2020년 34.2%, 2024년 37.3%로 꾸준히 상승했다. 임현진 선임연구원은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경제력이 높아지는 여성의 차량 보유 의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대형차보다는 실용적인 중소형 차량 위주의 수요가 더 빠르게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고령층(60∼80대)의 경우 총 등록대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국내 총 등록대수 증가율은 2.3%였는데 60대와 70대가 나란히 6.7%, 80대는 5.5%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대는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