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등 ‘약물 오남용’ 선진국 대비 여전히 높아
【 청년일보 】 약물 오남용 세계 1위라는 불명예를 씻기 위해 ‘진료와 처방은 의사, 조제는 약사’로 역할을 분담한 의약분업 제도가 시행된 지 올해로 벌써 20년째를 맞았다. 시행 초기 의사들의 집단 반발에 이은 휴·폐업사태가 이어지는 등 의료대란을 겪었지만 이후 격렬한 사회갈등은 상당 부분 해소됐으며, 이제는 의사에게 진료 받고 약국에서 약을 사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질 정도로 의약분업이라는 제도가 단단하게 뿌리내렸다는 평가다. 의사 처방 없이 천문학적 규모의 전문의약품을 마구잡이로 써온 전근대적 의료 관행도 대부분 사라졌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약물 오남용의 잣대라 할 수 있는 항생제와 주사제 사용량은 제도 시행 이후 큰 폭으로 줄어 해마다 감소세를 보이면서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여전히 항생제 오남용 대표국가로 꼽힌다. 1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항생제 처방률은 의약분업 시행 이후 2002년 43.35%에서 2004년 35.22%, 2006년 32.74%, 2008년 30.47%, 2010년 26.23%, 2012년 26.21%, 2014년 24.86%, 2016년 24.78%,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