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8/art_17521951233997_44de31.jpg)
【 청년일보 】 7월 수출이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의 호조에 힘입어 증가세로 출발했다. 조업일수가 전년과 동일한 가운데 일평균 수출액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0일까지의 수출액은 194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 역시 22억8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이달 1~10일 조업일수는 8.5일로 전년과 같다.
지난달 수출은 미국의 관세 부과 등 대외 변수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4.3% 증가하며 한 달 만에 다시 플러스 전환했다. 올해 들어 1월과 5월을 제외하고는 모든 달에서 전년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2.8%), 승용차(13.3%), 선박(134.9%) 등 주력 수출 품목이 전체 상승세를 견인했다. 특히 선박은 수출 증가율이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반도체는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 확대와 가격 상승의 영향으로 수출 비중이 19.7%로 올라, 작년 동기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자동차는 미국 관세 영향으로 대미 수출은 감소했지만, 유럽연합(EU) 지역에서는 전기차 중심의 수출 확대가 이어졌다.
다만 석유제품(-1.9%), 무선통신기기(-13.7%) 등 일부 품목은 감소세를 보였다.
국가별 수출은 중국(6.2%), 미국(6.1%), EU(3.6%), 베트남(2.3%) 등 주요 시장에서 증가했고, 홍콩(-43.1%) 등 일부 지역에서는 큰 폭의 감소가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입은 200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원유(4.9%), 기계류(17.2%), 가스(21.9%) 수입이 늘었고, 반도체(-4.5%), 석유제품(-27.4%) 등은 줄었다.
국가별 수입은 중국(2.2%), EU(18.3%), 일본(6.8%) 등에서 증가한 반면, 미국(-13.1%), 대만(-9.1%) 등은 감소했다.
이로 인해 1∼10일간 무역수지는 수입이 수출을 6억달러 초과하면서 적자를 기록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