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항 신선대부와 감만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2/art_17545239780775_7fdc93.jpg)
【 청년일보 】 올해 6월 경상수지 흑자가 역대 가장 많은 약 143억달러를 기록했다. 26개월 연속 흑자로 2000년대 들어 세 번째로 긴 흑자 행진이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2025년 6월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6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142억7천만달러(약 19조7천7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직전 달인 5월(101억4천만달러)이나 지난해 6월(131억달러)보다 많은 역대 최대 기록이고, 2000년대 들어 세 번째로 긴 26개월 연속 흑자다.
올해 들어 6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493억7천만달러)도 전년 동기(401억6천만달러) 대비 약 92억달러 많다.
항목별로는 상품수지 흑자(131억6천만달러)가 전월(106억6천만달러) 대비 25억달러 증가했다. 지난 2017년 9월(145억2천만달러), 2016년 3월(133억2천만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수출(603억7천만달러)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의 호조가 이어진 데다 의약품 등 비(非) IT 품목 수출도 늘면서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했다.
특히 통관 기준으로 컴퓨터주변기기(13.6%)·반도체(11.3%)·의약품(51.8%)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반대로 승용차(-0.3%)·석유제품(-0.9%)·철강제품(-2.8%)은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EU(14.7%)·동남아(6.0%)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미국(-0.5%)·중국(-2.7%)에서 감소했다.
반도체제조장비(38.8%)·반도체(22.7%) 등 자본재가 14.8%, 직접소비재(10.9%)·승용차(7.3%) 등 소비재가 7.6% 각각 불었다. 그러나 에너지 가격 하락 등으로 석유제품(-33.1%)·석탄(-25.9%)·원유(-15.2%) 등 원자재 수입은 6.4%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25억3천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전월(-22억8천만달러)보다 적자폭이 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10억1천만달러)는 입국자 수가 줄면서 적자가 5월(-9억5천만달러)보다 늘었다.
본원소득수지(41억6천만달러)는 5월(21억5천만달러)의 약 2배로 늘어났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월 중 172억9천만달러 불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9억2천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7억4천만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98억4천만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채권 위주로 54억1천만달러 확대됐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