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1천168만명 선택약정 할인 놓쳤다…연간 2조원 "허공에"

무약정 가입자 4명 중 1명 꼴…SKT 600만·KT 300만·LGU+ 200만
최수진 의원 "소비자 고지 강화와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절실"

 

【 청년일보 】 이동통신 요금에서 25%를 절감할 수 있는 '선택약정 할인제도'를 활용하지 않고 있는 무약정 가입자가 1천만명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소비자들이 놓치는 요금 절감액만 2조원대에 이른다.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의 무약정 가입자는 1천168만명으로 전체 가입자 4천626만명의 25.2%에 달했다.

 

선택약정 할인제는 단말기 구매 시 공시지원금을 받지 않았거나, 공시지원금 지원 기간(24개월)이 지난 경우 통신 기본요금에서 25%를 할인받을 수 있는 제도다. 가입 기간은 12개월과 24개월 중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당수 이용자가 이 제도를 활용하지 않으면서 통신사에 막대한 추가 수익이 돌아가고 있다.

 

최 의원은 통신사 입장에서는 요금할인 혜택을 신청하지 않은 무약정 가입자들로 연간 2조2천776억원의 추가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소비자원이 조사한 지난해 이동통신 평균 요금은 1인당 월 6만5천원 수준이었다. 이 가운데 무약정 가입자는 매달 약 1만6천원, 연간 19만5천원의 할인 혜택을 놓치고 있는 셈이다.

 

통신사별 무약정 가입자는 SK텔레콤이 약 600만명, KT가 300만명, LG유플러스가 200만명 수준으로 추산됐다.

 

최수진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를 통해 과기정통부에 무약정 가입자 수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제도개선을 요구했지만 여전히 1천만명이 넘는 가입자들이 선택약정할인 제도를 이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국의 적극적인 홍보와 소비자 고지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책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선택약정 할인 가능 여부는 이동통신사 고객센터나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스마트초이스'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