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맑음동두천 0.4℃
  • 맑음강릉 10.3℃
  • 구름조금서울 5.5℃
  • 맑음대전 2.2℃
  • 맑음대구 2.4℃
  • 맑음울산 6.3℃
  • 맑음광주 2.8℃
  • 맑음부산 8.7℃
  • 맑음고창 0.5℃
  • 구름많음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3.7℃
  • 흐림보은 2.0℃
  • 맑음금산 -1.0℃
  • 맑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1.2℃
  • 맑음거제 5.5℃
기상청 제공

"혹시 나도?" 놓치는 복지 없게… '복지로', 맞춤형 '복지 비서'로 대변신

흩어진 혜택 통합 제공 넘어 개인 상황별 자동 알림까지

 

【 청년일보 】 "혹시 내가 몰라서 못 받는 정부 지원금이 있지 않을까?" 복잡하고 방대한 복지 제도의 숲에서 이 같은 고민은 누구나 한 번쯤 해봤을 법한 일이다. 수혜 대상자가 스스로 필요한 혜택을 일일이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국민의 권리인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돕기 위해 대한민국 복지 플랫폼이 한 단계 진화했다.

 

22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따르면, 대표 복지 포털 '복지로(www.bokgiro.go.kr)'가 2025년 현재, 단순 정보 제공을 넘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대폭 강화하며 '국민 복지 비서'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각 부처에 흩어져 있던 복지 서비스 정보를 통합해 검색부터 신청까지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었던 기존 기능에, 이제는 개인의 상황을 분석해 혜택을 '먼저' 알려주는 능동형 시스템을 더한 것이다.

 

복지로 진화의 핵심은 바로 '복지멤버십(맞춤형 급여 안내)'이다. 이는 국민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급여가 무엇인지 몰라 신청 기한을 놓치는 일이 없도록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한 번 가입만 하면 개인의 연령, 가구 구성, 경제 상황 등 공적 자료가 분석되어 수급 가능한 복지 서비스가 생애주기별 중요 순간마다 자동으로 안내된다.

 

복지로를 통해 복지 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는 종류도 크게 늘어났다. 2025년 11월 기준으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서비스는 무려 53종에 달한다.

 

아동수당, 보육료 지원 같은 양육 지원 서비스는 물론,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기초연금 등 생애주기별 필수 서비스가 대거 포함되어 있어 주민센터 방문 없이도 손쉽게 혜택을 신청할 수 있게 됐다.

 

더불어, 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나 장애인 증명서 등 주요 자격 관련 서류 발급과 민원 처리도 온라인으로 가능해졌다. 집에서 간편하게 증명서를 출력하거나 팩스로 전송할 수 있어 행정력 낭비와 국민의 시간 절약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내가 현재 받고 있는 복지 혜택을 한눈에 관리하고 싶다면 '복지지갑' 기능을 활용하면 된다. 복지지갑은 개인의 복지 자격 정보와 수급 현황, 서비스 신청 내역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나만의 복지 현황판' 역할을 수행하여 투명한 관리를 돕는다.

 

이 밖에도 복지로는 사회적 안전망 기능도 수행한다. '복지위기알림' 서비스를 통해 본인이나 이웃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온라인으로 도움을 요청하면, 해당 정보가 지자체 복지 담당자에게 즉시 전달되어 상담과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진다. 또한, 복지 재정의 투명한 사용을 위한 '부정수급 신고' 채널도 운영하여 국민 세금이 올바르게 쓰이는지 감시하는 역할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복지 서비스는 아는 만큼 누릴 수 있는 국민의 권리이다. 정부가 제공하는 수많은 혜택 속에서 자신의 권리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복지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복지' 생활이 필요하다. 지금 바로 복지로에 접속해 복지멤버십에 가입하고 나만의 '복지지갑'을 확인하는 것이 복지 혜택을 놓치지 않는 가장 현명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 청년일보=이성중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