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대도시권으로 인구가 집중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우리나라 역시 인구 분산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구 과밀화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00년 42.8%, 2010년 46.2%에서 2020년 50.2%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 혼잡이 대표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 교통 혼잡 비용은 연간 38조5000억원이고 대부분인 82%(31조5700억원)가 대도시권에서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UAM이 떠오르고 있다. UAM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뜻한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 가운데 하나로, 하늘을 새로운 이동 통로로 이용할 수 있어 도심에서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떠올랐다. 자동차와 기차 등 흔히 볼 수 있는 모빌리티는 2차원 교통체계에 속하지만 UAM은 도심 상공을 비행하는 3차원이다. 물리적 한계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 수도권은 UAM 업계들이 눈여겨보는 지역 중 하나다. 정부가 발표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 따르면 세계 UAM 실현 유망도시 75개 도시 중
【 청년일보 】 최근 각종 금융업계의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떠오르고 있다. 2022년 1월 5일부터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시행되며 거의 대부분의 금융회사가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그렇다면 마이데이터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마이데이터란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적극적으로 관리, 통제하는 것은 물론 이러한 정보를 신용이나 자산관리 등에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기존에는 각 금융기관이 서로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서 소비자는 각 금융사에 흩어진 개인의 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데이터 3법이 시행되며 ‘개인신용정보 전송요구권’이 신용정보법 개정안에 포함되었고, 그로 인해 마이데이터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3법은 데이터 이용을 활성화하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신용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을 말한다. 마이데이터 산업은 데이터 활용체계를 기관 중심에서 정보주체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해당 정보들이 본인의 의사에 맞춰 활용될 수 있도록 개인의 정보 주권을 보장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인은 마이데이터를 통해 각종 기업이나 기관 등에 흩어져 있는 자신의 정보
【 청년일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소유 중인 하드웨어 사용자에 대한 의존성을 줄이되 구독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존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새롭고 빠르고 자주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디지털 기술을 사회 전반에 적용해 전통적인 사회 구조를 혁신한다는 뜻이다. 제한된 분야에 적용되는 단순한 기술 혁신과 달리,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업 경영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킨다는 특징이 있다.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 플랫폼들이 등장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정점에 이르렀다.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언택트 기술의 수요 증가가 일어나며 더욱 더 가속화되었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가 보이고 있는데, 스타벅스와 나이키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카페인 스타벅스는 ‘e프리퀀시’ 서비스와 ‘사이렌 오더’ 시스템을 도입하며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디지털화의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