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UAM 시대, 하늘길이 열린다

 

【 청년일보 】 대도시권으로 인구가 집중되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다. 우리나라 역시 인구 분산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구 과밀화를 피하지 못하고 있다. 


수도권 인구 비중은 2000년 42.8%, 2010년 46.2%에서 2020년 50.2%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 혼잡이 대표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국내 교통 혼잡 비용은 연간 38조5000억원이고 대부분인 82%(31조5700억원)가 대도시권에서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UAM이 떠오르고 있다. UAM은 Urban Air Mobility의 약자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뜻한다.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 가운데 하나로, 하늘을 새로운 이동 통로로 이용할 수 있어 도심에서의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한 차세대 모빌리티 솔루션으로 떠올랐다. 자동차와 기차 등 흔히 볼 수 있는 모빌리티는 2차원 교통체계에 속하지만 UAM은 도심 상공을 비행하는 3차원이다. 물리적 한계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인구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 수도권은 UAM 업계들이 눈여겨보는 지역 중 하나다. 정부가 발표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로드맵에 따르면 세계 UAM 실현 유망도시 75개 도시 중 서울은 헬리포트(헬리콥터 이착륙 비행장) 1위, 인구밀집도 5위, 소득수준 4위를 기록하며 높은 점수를 받았다.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단순히 개념 구상에 머물렀던 UAM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미국은 이르면 내년 UAM 상용화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유럽도 2024~2025년을 목표로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3사 통신사(SKT, KT, LG)가 ‘모빌리티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지난달 15일 열린 부산모터쇼에 참여해, UAM 전략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은 2025년까지 UAM 상용화를 목표로 UAM 기체 제작 선도기업 ‘조비 에비에이션’과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고 2024년부터 상용화가 가능한 기체에 대한 한국 내 독점권도 확보했다. 


KT는 지난해 11월 인천국제공항에서 UAM과 자율비행 드론 관제 시연을 한 바 있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 유일하게 300회 이상의 실증을 한 드론교통관리(UTM) 기술을 이미 보유중인 상황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달 27일 부산시와 부산 UAM 상용화 및 생태계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는 총 13개 사업자·지자체·군·공공기관이 참여했다. 각 기관과 참여사들은 UAM의 조기 활성화와 시장 선점을 위해 부산 지역의 해양 인프라를 활용한 실증 사업을 진행하기로 했다.


업계에선 상용화 초기 시점에는 공항과 도심 중심으로 UAM 서비스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는 중이다. 도심에서 약 30~50km 떨어져 있는 공항에 2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다. 상용화가 본격화된 이후, 약 10여년 동안은 조종사가 동승할 예정이지만 이후엔 자율주행 방식을 통해 UAM 서비스가 이뤄질 예정이다.


하지만 아직 해결해야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UAM 상용화를 위해선 안전부터 보장돼야 한다. 


UAM 사업에 뛰어든 기업들은 철저한 시연 비행과 안전 검증을 마친 후 상용화에 나서겠단 계획이지만 사고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다. UAM 사고의 피해 규모는 지상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보다 더 클 수밖에 없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역시 필요하다. 


현행법상 국내에서 상업용 드론을 띄우기 위해선 비관제공역의 고도 150m이하에서만 운용이 가능하다. 상공 300~600m를 비행해야 하는 UAM은 주행이 불가능한 셈이다.


수도권 대부분 지역에 묶여 있는 비행금지 지역의 규제 완화도 필요하다. 업계에선 정부에 실증 기간 연장과 초기 투자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UAM의 흑자전환 시기가 2035년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적 지원도 필요하단 지적이다. 빠른 속도로 상용화가 되고 있는 만큼 규제가 완화되고 법률 제정이 이를 뒷받침해준다면 머지 않아 UAM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

 

 

【 청년서포터즈 5기 김민서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