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년발언대] 사회 참여에 대한 관심과 정보 부족의 간극

 

【 청년일보 】 "참여 의지는 높아졌지만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실"

 

최근 몇 년간 20대 청년 사이에서 사회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환경 보호, 지역사회 발전 등 다양한 이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진 가운데, 이러한 관심이 실제 참여로 이어지는 경우는 드물게 발견되어 그 원인 중 하나로 정보 부족이 지적되는 추세이다.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4명 중 1명은 정치 참여를 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 ‘학교 안팎에서의 기회와 정보 부족’을 꼽은 바 있다. 이러한 정보 부족은 20대 청년에게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또한,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조사에서 20대 청년 64.8%가 정부에서 추진하는 청년 지원정책이 10개 이하라고 답해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며, 사회 참여를 위한 정보 접근에 청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 준다.

 

정보 부족의 문제는 단순히 ‘검색을 잘하지 못해서’가 아니라, 필요한 정보가 흩어져 있고, 접근 경로가 직관적이지 않다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간과하여서는 안 된다. 또한, 정책 홍보 방식이 SNS 활용이 미흡하거나, 청년 친화적이지 않아 관심 있는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정보 부족은 디지털 시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으며, SNS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부족, 정보의 과잉으로 인한 혼란 등이 참여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청년들에게 “나 같은 사람도 참여할 수 있을까?”, “이건 나와 상관없는 일”이라는 거리감을 형성하여, 자발적인 참여 의욕을 꺾기도 한다.

 

20대 청년의 사회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이 고려된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 플랫폼 구축: 정부나 공공기관, 신뢰할 수 있는 비영리 단체들이 청년들을 위한 사회 참여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여, 참여 방법, 일정, 필요 역량 등을 명확히 제공한다. ▲교육 및 워크숍 제공: 학교나 지역 커뮤니티 센터에서 사회 참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을 제공하여, 청년들이 참여 방법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사회 참여를 활발히 하고 있는 선배와의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해, 청년들이 실제 참여 경험을 공유받고, 참여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NS를 통한 정보 확산: 청년들이 자주 사용하는 SNS 플랫폼을 활용하여, 사회 참여에 대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하고, 참여를 독려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

 

"정보의 장벽을 넘는 참여의 첫 걸음"

 

20대는 사회 참여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정보 부족으로 실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20대 청년들이 정보 부족의 장벽을 넘어,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하여 청년 스스로도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고, 작은 실천부터 참여를 시작하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청년서포터즈 8기 신원영 】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