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코로나19 시대 재난이라는 사회적 위험은 대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아동과 청소년에게 특히 더욱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의식주는 아동과 청소년의 기초적인 삶의 보장에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발생 이후 아동과 청소년의 결식 경험이 증가하는 등의 기본적인 생존권조차 침해 받는 상황이 발생했다. 굿네이버스 아동권리연구소의 아동 재난대응 실태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발생 이후 '하루 3끼 모두를 챙겨 먹지 못한' 아동, 청소년의 비율이 2020년과 2021년 각각 64.1%와 61.6%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 발생과 원격학습이 원인이었다. 아동과 청소년의 결식 원인을 경제 위기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집에 먹을 음식이 많이 없어서' 결식을 했다고 응답한 아동·청소년의 비율은 2018년 연구 결과에선 0.1%였지만, 2020년과 2021년 실태조사 결과에선 각각 1.6%와 2.2%로 2018년 대비 16배 이상 폭증했다. 경제 위기 상황에서 결식 아동과 청소년의 증가는 필연적이다. 실제로 2020년 국정감사에서 2020년 8월 기준 급식지원 아동의 규모는 30여만명이었다. 코로나19가 잠잠해진 이후에는 도시가스 요금
【 청년일보 】 우리나라에서 한 해 평균 3천명이 넘는 사람들이 고독사로 사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의 고독사 현황은 지난 2021년 기준 3천378명이나 된다. 사회에서 고독사는 72시간 즉, 사흘이 지난 상태의 죽음을 의미한다. 5060대의 사람들이 전체의 56%를 차지하고, 요즘은 2030대의 청년들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청년 고독사는 2021년 기준 217명으로, 해마다 200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청년들은 다른 연령대보다 자살 비율이 20대 56.6%, 30대 40.3%로 많다. 또한 중위 소득자의 30~50%는 기초생활수급자다. 이 중 청년기초생활수급자는 올해 26만 명으로, 10년새 50% 이상 증가했다. 위와 같이 취업난, 경제적 빈곤, 관계 단절로 인해 사회적 고립감과 심리적 압박감, 사회적 죄책감을 느끼는 청년들이 자살을 한다. 경력직만 요구하는 기업들, 돈이 있어야만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회 속에서 청년들에게 사회적 고립은 강요된 것이다. 또 하나의 원인은 세대 간 벽의 증가 때문이다. 1970년대는 은행에 돈만 넣어도 20%가 넘는 이자가 붙고 외환위기가 터졌을 당시 1998년까지도 두 자리 이상의 이자가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