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설 연휴는 오는 21일부터 24일이다. 설은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우리나라의 큰 행사 중 하나이다. 떡국은 설을 대표하는 음식이다. 실제 '동국세시기'에서는 떡국을 '멥쌀가루를 쪄서 큰 판자 위에 놓고 자루가 달린 절굿공이(떡메)로 수없이 찧고 길게 늘여서 기다란 다리 모양의 떡을 만드는데, 흰떡이라고 한다. 이것으로 제사를 지내고 손님을 대접하니, 빠뜨릴 수 없는 세찬'이라고 표현할 만큼 설날에 빠질 수 없는 음식으로 표현하였다. 집집마다 절편, 인절미, 찹쌀떡, 망개떡 등 다양한 떡을 먹기도 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설 명절과 관련된 사고와 사고대처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소방청에 의하면, 최근 5년간 설 연휴 기도 막힘으로 이송된 인원은 25명으로 연평균 하루 한 명 꼴이라고 한다. 그 대부분은 60세이상으로 84%에 달한다고 한다. 또한 이제 막 음식을 먹기 시작한 영 유아에게도 빈번히 사고가 발생한다. 기도 막힘 사고의 경우, 초기 응급 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다면 기도 막힘 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우선 첫 번째로, 환자 스스로 말을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환자 스스로 말을 할 수 있는
【 청년일보 】 전동킥보드가 최근 이동 수단으로써 급부상하고 있다. 전동킥보드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애매한 단거리 이동 시 매우 편리한 교통수단으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인이 이동한 시간 또는 이동한 거리만큼만 비용이 책정되기 때문에 비용 효과적이라는 점과 대여 후 반납 가능한 장소라면 어디든지 반납이 가능하다는 점이 매우 큰 장점이다. 하지만 요새 전동킥보드 사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그 이유는 전동킥보드 사고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사람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도로교통공단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는 총 3천421건으로, 계속해서 급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동킥보드 운전의 문제 첫 번째로는, 무면허운전이다. 우선, 전동킥보드를 타기 위해서는 운전 면허증을 등록해야 한다. 현행 도로교통법상 만 16세 이상부터 취득 가능한 원동기장치자전거면허 이상의 운전면허 없이는 전동킥보드 운전이 금지돼 있다. 즉, 면허 없이 전동킥보드를 운전하는 것은 엄연한 범법 행위로, 적발 시 범칙금 10만원이 부과된다. 또한, 전동킥보드는 1인 탑승을 원칙으로 하며, 2일 이상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