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의대 증원 정책에 반대하며 의료 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않은 채 5개월 이상의 시간이 흘렀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18일 발표한 '수련병원 전공의 사직 처리 현황'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임용 대상 전공의 1만3천531명 중 임용 포기를 포함한 사직자 수가 7천648명(56.5%)으로 집계됐다. 의정 갈등이 장기화됨에 따라 복지부는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해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운영하겠고 밝혔다. 이는 전문의를 중심으로 한 중증·응급·희귀질환에 집중하는 상급종합병원으로의 구조 전환을 의미하며, 정부는 2027년 전면 제도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이탈 전공의로 인해 발생한 의료공백을 메우기 위해 PA 간호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기존에는 전공의에게 의존하던 구조였으나, 전문의와 PA(Physician Assistant, 진료지원) 간호사가 팀을 이루어 운영하는 시스템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전공의 10명분을 전문의 3명과 PA 간호사로 대체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라, 전공의 없이도 진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공의 비중을 단계적으로 축소해 나갈 방침이라고
【 청년일보 】 의대 정원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사단체 간의 대립이 지속되는 가운데, 의료현장은 의사들의 집단 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사태에 직면했다. 이 공백을 메우기 위한 정부의 대책으로,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지난 2월 19일 PA 간호사를 전공의 대체인력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대한간호협회(이하 간협)로부터 업무 범위의 명확성과 분명한 법적 보호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간협은 "정부가 먼저 간호사 업무 범위를 명확히 하고, 법적 보장과 안전망 구축 등의 내용을 법 보호 체계에 명시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부가 시키는 대로 불법 하에 간호사가 투입돼 의료공백을 메꾸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 박았다. 전공의들의 집단 사직과 파업은 상급종합병원의 과도한 전공의 의존 문제와 PA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가속화시켰다. 실제로, PA간호사는 의료현장에서 의사 업무의 일부(수술, 처방, 처치, 환자 동의서 작성 등)를 암묵적으로 수행해왔으나, 이들의 활동은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태였다.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는 PA면허제를 시행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