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질병관리청 만성질환관리국 국민영양조사분석(2014-2023) 추이에 따르면, 아침식사 결식률(1세 이상)은 전체 평균 2014년 24.1%에서 2023년 34.6%로 최근 10년간 약 10%p 꾸준히 상승하였다고 보고되었다. 2023년에는 19–29세가 57.2%로 다른 연령군에 비해 가장 높았다. 해당 보고서는 우리나라 국민 중 청소년 및 청년층 대부분이 ‘아침 결식’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여실히 드러낸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난 것일까?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발간한 ‘FATI(Farm Trend & Issue) 보고서(2023)에서 ‘천원의 아침밥’ 사업 여론 및 아침 결식 이유를 조사한 결과, ‘다이어트 및 식단관리를 위해’가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별한 이유 없이 습관적’으로 아침을 결식한다는 언급도 33%로 뒤를 이었다. ‘아침밥’의 중요성은 대대적으로 알려져왔다. 하루의 첫 단추를 시작하기 위한 아침에는 소모하는 에너지가 많다. 아침을 결식하게 되면 점심시간이 무척이나 기다려지게 된다. 다만, 기업 광고로 유명해진 ‘간편식(밀키트)’이나 시리얼 같은 ‘초가공식품’으로 아침 식탁을 꾸리는 습관은 좋지 않다.
【 청년일보 】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 온화한 하늘 아래 먼 동해 바다에 뜨거운 일출이 떠올랐다. 예나 지금이나 ‘건강’ 및 ‘웰빙(well-being)’에 관한 논의는 끊임없이 이루어져왔다. 따라서 아픈 곳 없이 무탈한 한 해를 보내기를 기원하는 사람도 적지 않아 보인다. 대사 질환의 일환으로 많은 국민의 고충을 낳는 비만 또한 우리 사회의 건강 지표를 좌지우지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한편, 비만은 고혈압, 암, 당뇨 및 심혈관계 질환의 직접적인 문제로 여겨진다. 비만 개선을 위해서 무리하게 일일 800kcal에서 1000kcal 미만의 낮은 열량의 식단을 하거나, 동시에 강도 높은 운동을 시도하였다가 빈번히 체중 감량을 실패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바쁜 현대인에게 에너지를 덜 소모하면서도 효과적인 체중 감량을 위해서는 호르몬의 변화를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태어난 인간의 생애 주기라는 것이 있듯, 몸의 내분비계에도 일정한 리듬이 있다. 식후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잘 알려진 인슐린은 혈중 포도당을 세포에 유입하여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흰 쌀 밥과 같은 정제 곡물 및 가공식품, 단순 당으로 이루어진 가속노화 식사를 하게 되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