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현대차와 기아가 지난해 미국에서 한 자릿수 판매 성장률을 기록하며 2년 연속으로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은 2024년 연간 판매량이 83만6천802대로, 전년(80만1천195대)보다 4% 증가했다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미국에서 세운 역대 최다 연간 판매 기록이라고 회사 측은 전했다. 이 회사는 2023년에도 전년 대비 판매량을 11% 늘리며 역대 최다 기록을 쓴 바 있다. 지난해 12월 판매량은 7만8천498대로, 전년 같은 달(7만5천164대)보다 4% 늘었다. 싼타페 하이브리드(87%↑)와 투싼 하이브리드(133%↑), 아이오닉 5(41%↑)가 역대 동월 최고 판매 기록을 세우며 성장을 견인했다. 월간 하이브리드 차량과 전기차 판매량은 각각 85%, 12% 증가했다. 월간 소매 판매량도 1년 전보다 9% 늘어난 6만6천159대로 역대 최고 기록을 썼다. 작년 12월을 포함한 4분기 판매량은 22만6천308대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현대차는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제품과 옵션을 제공한 덕분에 놀라운 기록을 세울 수 있었다"며 "
【 청년일보 】 현대차, 기아가 올해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를 739만여대로 세웠다. 현대차와 기아는 3일 올해 현대차 417만4천대, 기아 321만6천200대 등 총 739만200대를 판매하겠다는 목표를 공시했다. 국내 126만대, 해외 612만2천대, 기아 특수차량 8천200대다. 올해 목표량은 지난해 판매실적 대비 2.2% 늘어난 수치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대비 1.0% 감소한 723만1천248대를 팔았다. 현대차와 기아의 판매량은 각각 414만1천791대, 308만9천457대로 집계됐다.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친환경차와 전략 차종 등 신차 판매를 강화하고 현지 생산체제와 브랜드 역량 강화에 힘쓸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현대차는 ▲하이브리드차(HEV)를 포함한 친환경차 판매 기반 강화 ▲북미 현지 생산 체계 본격 확대를 통한 시장 대응력 강화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의 제조 혁신 등을 중심으로 사업 운영을 추진한다. 기아는 브랜드 및 고객 중심 경영과 적극적인 미래 기술 투자를 이어가는 가운데 ▲ 경제형 전기차(EV) 라인업 확대 ▲ 성공적인 목적기반모빌리티(PBV) 론칭 ▲ 전략 차종 출시 등을 통해 판매 성장세를
【 청년일보 】 기아가 지난 1962년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이래 지난해 연간 판매량에서 창사 이래 최고 성적을 올렸다. 기아는 지난해 국내 54만2천146대, 해외 254만7천311대 등 총 308만9천457대를 판매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2023년 대비 국내는 4.2% 감소하고, 해외는 1.0% 증가한 수치다. 총판매량은 0.1% 늘었다. 이로써 기아는 1962년 자동차 판매 시작 이래 연간 최다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최다 판매량을 새로 썼다. 차종별로는 스포티지가 58만7천717대로 국내와 해외를 합해 가장 많이 판매됐고, 셀토스 31만2천246대, 쏘렌토 28만705대 등의 순이었다. 국내 시장에서 지난달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쏘렌토로, 9만4천538대가 판매됐다. 승용 모델은 레이(4만8천991대), K5(3만3천837대), K8(3만2천734대) 등의 순으로 잘 팔렸다. 총판매량은 14만3천437대였다. 레저용 차량(RV) 모델은 쏘렌토에 이어 카니발 8만2천748대, 스포티지 7만4천255대, 셀토스 6만1천897대, 니로 1만4천978대, EV3 1만2천851대 등 총 35만4천627대가 판매됐다. 상용차 판
【 청년일보 】 기아의 전용 콤팩트 전기 SUV '더 기아 EV3'가 전기차 최대 격전지 북유럽 국가 중 하나인 핀란드에서 최고의 자리에 올랐다. 기아는 EV3가 핀란드 최고 권위의 '2025 핀란드 올해의 차'로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EV3는 최종 후보에 오른 6개 차종 중 195점의 가장 높은 점수로 르노 세닉(181점), 시트로엥 C3·e-C3(177점), 다치아 더스터(174점), 스코다 슈퍼브(130점), 스즈키 스위프트(88점)를 따돌리고 최고의 차에 등극했다. 핀란드 올해의 차는 핀란드 자동차 기자협회가 주관하는 핀란드 현지 최대 자동차 행사 중 하나로 지난 2014년부터 진행되어 올해 11회째를 맞았다. 올해는 현지 자동차 전문가로 구성된 63명의 심사위원단이 후보에 오른 45종의 신차를 대상으로 주요 평가 기준인 ▲가격 대비 가치(가성비)를 중점적으로 살피고, ▲기술 혁신 ▲성능 ▲공간 및 안정성 등을 평가했다. EV3는 유럽 WLTP 기준 605km의 충분한 1회 충전주행거리, 넉넉한 공간성, 다양한 편의사양은 물론 뛰어난 가격 경쟁력까지 갖춰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올해 EV3의 '2025 핀란드 올해의
【 청년일보 】 현대차그룹 전기차 5종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이하 IRA)에 따라 최대 7천500달러의 보조금(소비자 세액 공제)을 받을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전기차들의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전기차 보조금 폐지 가능성도 있어, 실제 보조금 지급 여부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난 2일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현대차의 아이오닉5·아이오닉9, 기아 EV6·EV9, 제네시스 GV70 전동화 모델은 올해 IRA 혜택 대상에 포함됐다. IRA는 배터리와 핵심광물 등 원산지 요건을 충족하고 미국에서 제조된 전기차에 대해서만 보조금을 제공한다. 업계에선 현대차그룹이 작년 10월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전용 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를 가동하기 시작한 것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그룹 모델이 여기에 포함된 것은 올해가 사실상 처음이다. GV70은 지난해 잠시 보조금 혜택을 받다가 4월 세부 지침이 발표되면서 제외됐다. 보조금이 지급되면 현대차그룹의 미국 내 경쟁력은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은 변수로 꼽힌다. 업계 일각에선 트럼프 2기 행
【 청년일보 】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가 지난해 이동 결산 데이터를 공개했다. 쏘카는 지난 2023년 12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천만 쏘카 회원이 지난해 주행한 거리는 약 4.8억㎞로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구를 약 1만2천바퀴, 우리나라 외곽을 약 10만6천바퀴 돌 수 있는 거리다. 최다 이용 회원은 총 431회 카셰어링을 이용했다. 1년 동안 하루에 1회 이상 매일 쏘카를 이용한 셈이다. 가장 다양한 차종을 빌린 회원은 전기차, 수입차, 캠핑카 등 39종의 차량을 고루 이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쏘카 회원이 가장 많이 이용한 차종은 합리적 가격, 뛰어난 연비 등 장점을 가진 ▲더뉴아반떼CN7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차종별 이용 회원의 연령대 비중을 분석했을 때, 경제적 이동을 추구하는 20대는 합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더뉴아반떼CN7, 가족과의 이동이 많은 30대와 40대는 다인승 차량인 ▲카니발 KA4 프레스티지, 경제력을 갖춘 50대는 고급 세단인 ▲더뉴그랜저를 선호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다양한 차량 경험에 대한 소비자 니즈를 반영해 BMW 5시리즈, 벤츠 E-클래스 등으로 수입차 라인업을 확대한 결과
【 청년일보 】 환경부는 '2025년도 전기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이하 보조금 개편안)'을 행정예고한다고 2일 밝혔다. 기간은 이날부터 10일간이다. 환경부는 매년 예산 편성상황을 고려하고 관계부처 협의,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등을 거쳐 전기차 구매보조금 지침을 개편해 왔다. 최근 전기차 시장은 일시적 수요정체(캐즘 현상)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전기차 성능에 대한 소비자 눈높이가 한층 높아지고 있으며, 전기차 안전성 강화 및 합리적 가격 등에 대한 요구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환경부는 이러한 시장동향 및 소비자 요구를 고려해 성능과 안전성을 갖춘 전기차를 우대하는 한편, 구매자의 가격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2025년도 전기차 보조금 개편방향을 마련했다. 개편 방향은 먼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길고 충전속도가 빠른 성능이 뛰어난 전기차에 보다 많은 보조금을 지급해 제조사의 기술혁신을 유도하고 성능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이 없도록 한다. 안전관리를 쉽게 해주는 기능 도입을 유도하고, 제조물 책임을 담보하도록 하는 등 전기차 제작·수입사의 책임을 강화한다. 끝으로 전기차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청년 생애 첫 차 구매자, 다자녀가구, 농업인 등 실수요자들이 전기차를
【 청년일보 】 제주항공 참사를 계기로 국내 저비용항공사(LCC)의 정비 부실 문제가 거론되고 있다. 이 가운데 LCC들이 엔진 수리와 같은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를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번 참사 원인과 관련, 제주항공의 무리한 운항과 이에 따른 기체 노후화, 정비 부실 가능성이 계속해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국내 항공사 중에서는 대형 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격납고를 보유하고, 엔진 고장 등 중대한 기체 결함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 이른바 MRO 역량을 갖췄다. LCC들은 이러한 역량을 갖추지 못해 국내외에 외주를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내 MRO 업체는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서비스(KAEMS·캠스)가 유일해 LCC들은 기체 고장 시 대부분 해외에 보수를 위탁해야 한다. 하지만 최근 10년간 LCC 수가 크게 늘고, 수리해야 할 항공기 수도 많아지면서 해외 위탁 비중과 수리 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에 따르면 국적 항공사들의 해외 정비 비용은 지난 2019년 1조2천580억원에서 2023년 1조9천898억원으로 4년간 58.2% 늘었다. 해외 정비 비중도 45.5%에서
현대자동차의 아이오닉 5가 기네스북 기록을 경신하며 이름을 남겼다. 현대차는 지난 26일 전용전기차 아이오닉 5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주행 가능 도로로 알려진 인도 북부의 '움링 라(Umling La, 해발 5천799m)'서부터 인도에서 가장 낮은 고도를 지닌 지역인 남부 '쿠타나드(Kuttanad, 해발 -3m)'까지 총 5천802m의 고도차 주행을 문제없이 주파하며 '기네스북(GUINNESS WORLD RECORDS)', '최고 고도차 주행 전기차 부문(Greatest altitude change by an electric car)'에 등재됐다고 밝혔다. 현대차 인도법인(HMIL)과 인도의 유력 자동차 전문지 이보 인디아(Evo India)의 주행팀은 아이오닉 5를 통해 인도의 험난한 지형과 극한의 기후조건에도 불구하고 고도 차이가 최대 5천802m에 달하는 4천956㎞의 주행거리를 14일 만에 거뜬히 주파하며 뛰어난 내구성과 주행성능을 입증했다. 특히 아이오닉 5는 드넓은 인도 대륙을 북에서 남까지 종단하는 과정에서 '히말라야(Himalayas)' 산지의 영하 기온과 좁고 가파른 산길서부터 '케랄라(Kerala)' 해안지대의 습한 기후까지 두루 섭렵
【 청년일보 】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주요 원인으로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기체 고장이 거론되는 가운데, 국내 공항에 조류충돌 방지 장비가 제대로 갖춰져있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료를 통해 "한국공항공사와 인천국제공항공사에 확인한 결과 국내 15개 공항 중 조류탐지 레이더가 설치된 공항은 단 1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조류를 탐지할 열 화상 카메라가 설치된 공항도 김포공항·김해공항·제주공항 등 3개에 불과했다. 반면 일본 국토교통성은 지난 2012년 하네다 공항에 조류 탐지 레이더와 감시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 조류 충돌 방지 시스템(BIRDS)을 설치했고,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히폴 공항, 싱가포르 창이공항 등도 조류 충돌 방지 시스템을 도입·운영 중이라고 박 의원 측은 설명했다. 이에 박 의원은 공항에 조류 탐지 레이더, 열화상 카메라 등 조류 충돌 방지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항시설법 개정안을 발의할 방침이다. 박 의원은 "앞으로 국민 단 한 사람도 항공기 조류 충돌사고로 목숨을 잃지 않도록 공항시설법을 개정하고, 추경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