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지난달 기업들의 주식 발행규모가 전월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발표한 '7월 중 기업의 직접금융 조달실적'에 따르면 지난달 주식 발행규모는 1조5천109억원으로 6월(1조7천366억원)보다 2천257억원(13.0%) 줄었다. 기업공개(IPO)는 1조2천271억원으로 같은 기간 8천248억원(205.0%) 늘었다. 이와 관련 금감원은 대규모 코스피 상장 IPO 2건(시프트업·산일전기)이 성사됐고 코스닥 IPO 규모도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유상증자는 대기업 유상증자가 부재하며 2천838억원으로 전달보다 1조505억원(78.7%) 급감했다. 지난달 회사채 발행 규모는 20조1천36억원으로 전월(18조3천684억원)보다 1조7천352억원(9.4%) 불었다. 회사채 잔액은 659조8천151억원으로 전달(658조1천434억원)보다 1조6천717억원(0.3%) 증가했다. 이 가운데 일반회사채 발행규모는 3조1천790억원으로 3천910억원(11.0%) 줄었고, 금융채는 16조3천374억원으로 2조9천432억원(22.0%) 늘었다. 7월 중 기업어음(CP)은 40조6천137억원 발행돼 전월보다 9천8
【 청년일보 】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들의 동반 매수에 2,690선을 회복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일보다 22.27포인트(0.83%) 오른 2,696.63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25.38포인트(0.95%) 오른 2,699.74로 출발해 장 초반 오름폭을 1% 넘게 키우며 2,700대를 터치하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천542억원, 38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2천805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일보다 8.86포인트(1.13%) 내린 777.47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2억원, 118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83억원 순매도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0.8원 내린 1,333.2원에 장을 마감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KB증권(사장 김성현, 이홍구)은 고객들의 공개매수 청약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비대면 '공개매수 청약 시스템'을 오픈했다고 20일 밝혔다. 공개매수란 특정 기업의 주식 매입 기간·가격·수량 등을 미리 제시한 후 증권시장 밖에서 공개적으로 매수하는 것으로 주로 인수·합병(M&A), 경영권 확보, 상장폐지 등이 목적이다. 그 동안 투자자들이 공개매수 청약을 하기 위해서는 직접 지점에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KB증권은 이러한 투자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MTS인 'KB M-able(마블)'과 HTS인 'H-able(헤이블)'을 통해 비대면 채널로도 공개매수 청약을 신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KB증권 계좌 보유 고객은 공개매수 청약기간 중 영업시간 내 MTS인 'KB M-able(마블)' 자산·뱅킹 탭의 공개·장외매수에서 청약신청이 가능하며, HTS의 경우에는 'H-able(헤이블)' 뱅킹·청약의 공개매수청약등록 화면에서 신청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식대로 오프라인 청약 신청을 원하는 고객의 경우 가까운 KB증권 지점 방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더불어 타사 계좌에 공개매수 대상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 청년일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바이오TOP10 ETF'가 바이오·헬스케어 섹터 ETF 중 개인 누적 순매수 1위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9일 종가 기준 'TIGER 바이오TOP10 ETF'의 상장일(2020년 10월 7일)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 규모는 935억원이다. 국내 상장된 바이오·헬스케어 섹터 내 ETF는 총 20종으로, 이 가운데 가장 많은 개인 투자자 자금이 유입됐다. 'TIGER 바이오TOP10 ETF'는 국내 대표 바이오·헬스케어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ETF다. 지난 19일 기준 국내 바이오위탁개발생산(CDMO) 대장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셀트리온'을 각각 25%씩 편입하고 있다. 이는 국내 상장된 ETF 중 가장 많은 투자 비중이다. 그 외 'SK바이오팜'에도 25% 투자한다. 최근 글로벌 바이오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되며 'TIGER 바이오TOP10 ETF'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강화되는 추세다. 현재 미국 정부는 약가 인하를 위해 바이오시밀러 시장 개방 의지를 보였으며, 여기에 미국 의회가 추진 중인 '생물보안법'으로 중국 CDMO 기업에 대한
【 청년일보 】 일동제약이 장 초반 강세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31분 기준 일동제약은 전날보다 2천130원(12.71%) 오른 1만8천890원에 거래되고 있다.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일동제약과 일본 시오노기제약이 공동 개발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에 대한 품목허가 신청을 검토하고 있다. 주가 상승은 코로나19 입원 환자 수가 4주 전보다 9배 넘게 증가, 치료제 부족 상황 우려가 커지면서 매수세가 쏠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4일 보건복지부는 조규홍 장관 주재로 질병관리청, 국무조정실, 교육부, 행정안전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소방청 등 관계부처와 함께 코로나19 유행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코로나19 입원환자는 지난 6월 말부터 다시 증가세다. 지난달 셋째 주만 해도 226명이던 입원환자는 이달 2주차에 1천357명(잠정)까지 늘어 올해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입원환자는 지난달 둘째 주 148명, 셋째 주 226명, 넷째 주 475명, 이달 첫째 주 861명 등으로 일주일마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중·경증 환자를 포함해 응급실을 찾은 코로나19 환자는 지난 6월
【 청년일보 】 코스피가 20일 상승 출발해 2,700대에서 등락 중이다. 이날 오전 9시 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일보다 29.53포인트(1.10%) 하락한 2,703.89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보다 25.38포인트(0.95%) 오른 2,699.74에 개장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일보다 6.68포인트(0.86%) 하락한 784.15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 보다 3.0원 내린 1,331.8원으로 개장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하나증권(대표이사 강성묵)은 오는 9월 20일까지 '해외파생 실전투자대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실전투자대회는 옵션을 제외한 CME그룹거래소 해외선물 상품이 대상이며, 주간 단위로 총 5차례에 걸쳐 진행이 된다.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수익률 상위 10명을 가려 시상을 하며, 주간 입상자에게는 1위 50만원부터 순위별 차등적으로 상금이 지급된다. 대회가 끝나면 대회기간 동안의 참여한 누적 수익률을 기준으로 입상자에게 상금과 경품을 준다. 1위부터 10위까지 상금과 함께 파리 올림픽 국가 순위에 해당하는 국가별 테마 경품을 함께 지급한다. 입상 하지 못한 참가자 전원에게는 5천원 상당의 커피 모바일 상품권을 준다. 하나증권에서 해외파생상품계좌를 가지고 있는 손님이면 누구나 참가 할 수 있으며, PC의 경우 1Q HTS(파생형), 모바일에서는 원큐파생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실전투자대회 메뉴로 들어가 신청하면 된다. 대회 중간에 신청을 하면 신청한 날의 다음주부터 참여 된다. 이병철 하나증권 WM그룹장은 "해외파생상품 투자전략을 점검하고 다양한 해외파생상품에 대한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만들고자 기획한 것"이라며 "실전투자대회와 해외
【 청년일보 】 코스피 지수가 6거래일 만에 하락 마감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2.87포인트(0.85%) 내린 2,674.36로 거래를 마쳤다. 지수는 전장보다 0.74포인트(0.03%) 오른 2,697.97로로 출발해 보합권 내 등락하다 내림세로 돌아섰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천437억원, 146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1천385억원 순매수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8.86포인트(1.13%) 내린 777.47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천230억원, 173억원 순매도했다. 반면 개인은 1천417억원 순매수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23.6원 내린 1,334.0원에 장을 마감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삼성생명이 올해 2분기 '깜짝 실적' 기록과 '배당 확대' 기대감에 힘입어 장 초반 강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0시 9분 기준 삼성생명은 전날보다 4천100원(4.62%) 오른 9만2천9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삼성생명은 지난 16일 열린 기업설명회(IR)에서 올해 상반기 순이익 1조3천68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새 회계기준인 IFRS17 도입 후 최대 실적이다. 또 중장기 주주환원율 목표도 50%로 제시했다. 지난해 삼성생명의 주주환원율은 35.1%, 시가배당률은 5.1%였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생명의 2분기 지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9.2% 증가한 7천464억원으로 시장 기대치를 큰 폭으로 상회했다"며 "2분기 CSM(보험계약마진) 조정으로 인한 손실이 3천544억원으로 크게 발생했지만, 보험부채 할인율 강화 영향이 없는 3분기부터는 2천억원대로 규모가 축소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올해 배당 성향 37.2%를 가정한 DPS는 4천700원, 배당수익률은 5.3%로 높은 수익률은 아니지만 향후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메리츠금융지주가 올해 2분기 호실적에 힘입어 장 초반 강세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26분 기준 메리츠금융지주는 전날보다 1천300원(1.46%) 오른 9만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중 9만1천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새로 썼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지난 14일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잠정) 당기순이익이 1조3조275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1조1천803억원) 대비 12.5% 증가한 수치다. 2분기 순이익만 보면 전년 동기 대비 27.7% 늘어난 7천362억원으로 역대 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 23조7천866억원, 1조7천764억원으로 집계됐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 청년일보 】 코스피가 19일 상승 출발해 2,690대에서 등락 중이다. 이날 오전 9시 3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3.38포인트(0.13%) 하락한 2,693.85를 나타냈다. 지수는 전장 보다 0.74포인트(0.03%) 오른 2,697.97에 개장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63포인트(0.33%) 하락한 783.70을 나타냈다. 한편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보다 0.4원 내린 1,350.9원으로 개장했다. 【 청년일보=신한나 기자 】
【 청년일보 】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미국 주식 투자 열풍에 따른 해외 주식 거래대금 증가로 상반기 호실적을 기록했지만 정작 투자자 권익 보호에는 무신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미국 주식 주간거래 서비스가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했지만, 증권사들이 자신들은 책임이 없다며 발뺌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키움증권 등 종합금융투자사업자들의 연결 기준 상반기 순이익 성장률은 대체로 작년 동기 대비 두자릿수대를 기록했다. 한국투자증권은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64.9% 증가한 7천109억원을 기록해 업계 1위를 차지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등 자회사들의 실적과 배당금을 제외해도 상반기 순이익은 5천362억원으로 집계돼 작년보다 83.0% 늘었다. NH투자증권의 상반기 순이익 역시 작년 대비 15.2% 증가한 4천227억원을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삼성증권(26.4% 증가·5천110억원)·KB증권(50.4% 증가·3천795억원)·키움증권(12.0% 증가·4천770억원) 등도 순이익이 크게 늘었다. 증권사들의 호실적은 브로커리지(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이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