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급식실 조합원이 지난 8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본관 계단에서 열린 학교급식실 폐암 산재 대책 마련과 노동환경 개선 예산 편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에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1147/art_16693380458669_455a05.jpg)
【 청년일보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에 나선다. 교육 공무직으로도 불리는 학교 비정규직은 각급 기관과 학교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중 공무원이 아닌 이들이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25일 정규직과의 임금 차별 해소와 급식실 폐암 종합대책 마련, 교육교부금 축소 반대 등을 주장하며 이날 하루 파업을 진행한다.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10월과 12월 총 2차례의 파업을 진행했다. 10월 파업 때는 2만5천여 명이 참여했으며, 2천899개교(전국 1만2천403개교 중 23.4%)에서 급식에 차질이 빚어졌다. 12월 파업 때는 7천여 명이 참여했고 1천20개교(8.2%)에서 급식이 운영되지 못했다.
교육당국은 교육 현장 운영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대체 급식과 단축 수업을 실시하고 교직원을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급식실이 정상 가동될 경우에는 식단을 간소화하고, 이외에는 도시락이나 빵·우유 등 대체식을 마련해 급식을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교육청은 본청과 교육지원청, 일선 학교에 파업 대책 상황실을 운영하며 돌발 상황에도 대비 중이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