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9.0℃
  • 맑음강릉 14.8℃
  • 맑음서울 11.2℃
  • 박무대전 9.8℃
  • 맑음대구 11.3℃
  • 맑음울산 15.0℃
  • 맑음광주 13.6℃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1.7℃
  • 맑음제주 20.0℃
  • 맑음강화 12.0℃
  • 맑음보은 7.5℃
  • 맑음금산 6.3℃
  • 맑음강진군 14.4℃
  • 맑음경주시 12.2℃
  • 맑음거제 15.7℃
기상청 제공

11월 소비자물가 3.3%↑…"넉 달째 3%대 속 둔화"

농산물, 13.6% 올라…석유류는 5.1% 감소
근원물가 2개 지표도 각각 3.3%, 3.0%↑

 

【 청년일보 】 소비자물가가 지난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3%대 오름세를 이어갔으나, 상승폭은 둔화세를 보였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로,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올해 6~7월 2%대로 떨어졌던 물가상승률은 8월(3.4%), 9월(3.7%), 10월(3.8%) 오름세를 보였으나, 11월 들어 제동이 걸린 모습이다.


전월 대비로는 0.6% 감소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1년 만에 하락 반전했다.


석유류가 전년 동월 대비 5.1% 감소하면서 전체 물가의 0.25%포인트(p)를 떨어트렸다. 유종별로는 휘발유는 2.4% 오르고 경유와 등유는 각각 13.1%, 10.4% 하락했다.


반면 농산물은 13.6% 오르며 0.57%p의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는 지난 2021년 5월(14.9%) 이후 30개월 만의 최고 상승폭이다.


이 밖에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3.3% 올랐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3.0% 상승했다.


또,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4.0%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7% 올랐다.


이 가운데 신선과실지수는 24.6% 뛰어 전월(26.2%)에 이어 20%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사과는 55.5%, 귤은 16.7% 올랐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