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워싱턴DC 국제통화기금(IMF) 청사.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40416/art_17133977943153_ea05f7.jpg)
【 청년일보 】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이 2021년에 이미 50%를 처음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9년에는 60%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17일(현지시간) 발표한 '재정점검보고서'(Fiscal Monitor)에서 한국과 미국, 일본 등을 포함한 경제 선진 37개국의 2015년∼2029년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 등을 자체 추정했다.
IMF는 2023년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을 55.2%로 집계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IMF에 따르면 한국의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은 2015년 40.8%였으나, 2019년 42.1%에서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48.7%로 급등했다. 이어 2021년에는 51.3%를 기록하며 처음 50%를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IMF는 올해의 경우 한국의 정부부채가 GDP 대비 56.6%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9년에는 59.4%에 이르러 60%에 육박할 것으로 관측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1일 '2023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에서 지난해 국가채무(D1)의 GDP 대비 비율이 50.4%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 50%를 넘었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국가채무(D1)와 정부부채는 대상범위가 다소 다르다. 국가채무(D1)는 국가재정법에 따라 국채, 차입금, 국고채무 부담행위로 구성되나, IMF에서 활용하는 정부부채(D2)는 국가채무에 비영리공공기관 부채까지 포함한 개념이다.
한편 2023년 G7과 주요 20개국(G20)의 평균 국가부채 비율은 각각 126.1%와 121.1%로 추정됐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