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공공기관·기업 사칭 '노쇼사기' 2천892건…올해 피해액만 414억원

범인 검거율 22건으로 0.7%에 불과

 

【 청년일보 】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사칭한 허위 전화주문(노쇼) 사기로 40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노쇼사기 현황 자료'를 살펴보면 올해 1∼7월 전국에서 2천892건의 노쇼 사기가 발생했다. 피해액은 41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노쇼사기는 공공기관이나 기업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한 후 선결제·대리구매를 유도한 뒤 현장에 나타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577건(피해액 7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284건(38억원), 서울 281건(33억원), 전북 216건(35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전국적으로 2천892건의 전화주문 사기가 발생했지만, 범인이 검거된 사건은 전체의 0.7% 수준인 22건(81명)에 불과했다.


박정현 의원은 "전화주문 사기는 유명한 공공기관과 기업의 이름을 빌려 소상공인을 현혹하게 만드는 악질 범죄"라며 "서민을 울리는 악질 범죄를 뿌리 뽑고, 0.7%에 머물러 있는 검거율을 높이기 위해 경찰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권하영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