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매몰된 실종자 2명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닷새째 계속되고 있다.
소방 당국은 10일 새벽까지 소형 무인기(드론)를 붕괴 구조물 내부에 투입해 실종자 흔적을 탐색했으나, 별다른 단서는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인력 투입 수색은 붕괴 위험이 큰 만큼 전날부터 중단됐으며, 드론과 구조견을 활용한 수색만 병행 중이다. 드론이 실종자를 포착할 경우 구조대원들이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현장 인근에서 대기하고 있다.
한편, 무너진 5호기 양옆에 있는 4·6호기 보일러 타워의 발파 해체 준비 작업도 진행 중이다. 두 타워의 붕괴 위험을 제거하고 중장비를 투입하기 위한 사전 단계다. 특히 6호기에 대한 ‘취약화 작업’(기둥·철골을 미리 절단해 철거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이 이틀째 이어지고 있으며, 4호기는 이미 대부분 마무리됐다.
해체 작업은 전날 오후 재개됐지만, 어둠이 짙어진 뒤 안전 문제로 다시 중단됐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안전점검회의(TBM)를 거쳐 오전 중 작업을 다시 진행할 계획이다. 취약화가 끝나는 대로 폭약 설치에 착수해 이번 주 초 발파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4·6호기 해체가 완료되면 중장비를 본격 투입해 5호기 잔해를 들어내는 작업에 나설 예정이며, 이르면 실종자 확인 및 구조 속도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지난 6일 발생한 5호기 붕괴 사고로 총 7명이 매몰됐으며 이 중 3명의 시신이 수습됐다.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