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10.8℃
  • 구름조금강릉 12.9℃
  • 맑음서울 11.9℃
  • 맑음대전 12.4℃
  • 맑음대구 14.2℃
  • 구름조금울산 13.2℃
  • 구름조금광주 13.0℃
  • 구름조금부산 13.2℃
  • 구름조금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3.7℃
  • 맑음강화 9.7℃
  • 구름조금보은 11.9℃
  • 맑음금산 11.9℃
  • 구름조금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3.4℃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7천명 '파업 집회'...학교 급식·돌봄 비정규직 "저임금 차별 철폐"

방학 중 무임금 해소, 정규직과의 근속 임금 차별 해소 등 요구
'차별을 끝내자', '집단임금교섭 승리' 등이 적힌 피켓 들고 시위

 

【 청년일보 】 돌봄, 급식 등을 담당하는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는 2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처우 개선을 촉구하는 총파업대회를 개최했다.

 

경찰 비공식 추산 7천명의 참가자는 최저임금 이상의 기본급 지급, 방학 중 무임금 해소, 정규직과의 근속 임금 차별 해소 등을 촉구했다.

 

이들은 '차별을 끝내자', '집단임금교섭 승리' 등이 적힌 피켓을 들고 "비정규직 저임금 차별 철폐하자", "국회는 교육공무직 법제화하고 학교급식법 개정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연단에 오른 정인용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본부장은 "우리 노동은 어느 하나 중요하지 않은 게 없다. 장애 학생 지원, 급식, 돌봄, 상담, 환경 정비에 야간에도 학교를 지켜낸다"며 "하지만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 중앙정부의 지침이 있어도 교육청만 묶어둔 명절 임금 등 차별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또 "지난번 연대회의 대표단은 정부와 국회의 약속을 받아냈지만, 비정규직 저임금 구조를 바꾸고 학교급식 위기를 해결하겠다던 그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다"며 "정부가 외면하면 투쟁으로 바꿀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대회의는 입장문을 통해 "교육 당국이 진전된 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파업은 이번으로 끝나지 않고, 학교의 일상은 다시 한번 멈추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대회가 끝난 뒤 여의도공원, 금융감독원 앞 등 여의도 일대를 행진했다.

 

연대회의는 교육 당국과의 임금 교섭이 파행을 겪는다면 20∼21일, 12월 4∼5일 총파업을 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결국 이날 파업이 진행되면서 교육 당국은 급식의 경우 식단을 조정하거나 빵과 우유 등 대체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돌봄은 대체 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등 교원단체들은 이날 오후 국회 정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파업피해방지법'을 하루빨리 심의해 통과시켜달라고 요구했다.

 

교총은 "매년 되풀이되는 파업으로 학교 기능이 마비되고 그 피해가 고스란히 학생에게 전가되는 악순환을 끊어야 한다"며 "노동자의 처우 개선 요구도 당연히 존중받아야 하지만, 어떠한 명분도 아이들의 밥 먹을 권리와 안전하게 보호받을 권리를 침해하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급식과 보건 등 학생 안전과 건강 관련 업무를 필수공익사업으로 지정해 파업 시에도 최소한의 대체 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학교파업피해방지법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