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부, 에너지·바이오 등 5대 신산업 육성한다…2022년 30만개 일자리 목표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1일 오후 경기도 성남시 판교창조경제밸리 기업지원허브에서 열린 혁신성장 확대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2022년까지 에너지·바이오 등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해 양질의 일자리 30만개를 창출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오전 국회 산업통산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 회의를 열고 우리 산업의 구조적 문제 해결과 혁신성장을 위한 '새정부 산업정책 방향'을 수립·보고했다.

정부는 이날 우선적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전기·자율주행차 △에너지신산업 △바이오·헬스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플랫폼 제품 중심의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세부적으로는 2020년 고속도록 자율주행과 2022년까지 35만대 전기차 보급, 빅데이터·인공지능 연계 사물인터넷(IoT) 가전 기술 및 신약·의료기기 개발, 분산형 발전확대 등 에너지신산업을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기업혁신 부문에서는 중견기업을 새로운 성장 주체로 육성해 매출 1조원 이상 월드챔프 중견기업 80개도 만들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기업 역량별 맞춤형 수출·연구개발(R&D) 지원, 지역거점 기업 육성, 성장친화적 인프라 조성 등을 추진한다. 또 10대 업종별로 '상생 협의체'를 구성해 차별화한 상생협업 모델·프로젝트 개발을 유도한다.

지역혁신 부문은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등 기존 인프라와 연계해 '국가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문재인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은 △주력산업 고도화 및 신산업 창출 △미래 지향적 상생협력 강화 △혁신성장을 위한 지역거점 육성 등 3대 전략으로 크게 나뉜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추진 Δ주력산업 성장활력 회복 Δ중견기업을 새로운 성장주체로 육성 Δ함께 가치를 창출하는 업종별 상생협력 Δ국가혁신클러스터 육성 Δ지역의 혁신성장 확충 지원 등 6대 정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신산업 육성 프로젝트는 문재인정부의 산업정책 방향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이다.

산업부는 이번 정책 수립의 배경으로 특정 산업·기업·지역 중심의 산업구조 쏠림은 성장의 착시현상을 야기하고 새로운 혁신 역량 창출에 한계를 노출함에 따라 과감한 정책 재설계를 통해 '산업→일자리→소득'으로 이어지는 성장의 톱니바퀴를 재가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