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오전 청와대 영빈과에서 신년기자회견을 열고 "청년 일자리 문제를 국가적인 과제로 직접 챙기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취업시장에 진입하는 20대 후반 청년 인구는 2021년까지 39만명 증가했다가 2022년부터 빠르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 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청년 일자리는 이러한 인구구조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3~4년간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자리 격차 해소와 일자리 질 개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령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임금격차 해소, 노동시간 단축, 일자리 나누기 같은 근본적 일자리 개혁을 달성해야 한다"며 "특히 노동시간 단축은 우리 삶을 삶답게 만들기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경제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있어야 가능한 일"이라며 "사회적 대호와 대타협에 역점을 두고 추진하겠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회도 노동시간 단축입법 등으로 일자리 개혁을 이끌어 주시기 바란다"며 국회의 협조도 요청했다.
채용비리 등 지위를 악용한 갑질 문화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공정경제는 반칙과 특권이 없는 사회, 더불어 잘사는 나라로 가기 위한 기반"이라며 "채용비리, 우월한 지위를 악용한 갑질 문화 등 생활 속 적폐를 반드시 근절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