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의 토익(TOEIC) 평균성적이 676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석 대상 47개 국가 중 17위, 아시아 국가에서는 727점인 필리핀에 이어 2위다.
한국TOEIC위원회는 토익 출제기관인 미국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가 지난해 47개국에서 토익을 치른 499만여명의 성적(990점 만점)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밝혔다.
토익은 공용어로서의 영어 숙달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미국 교육평가위원회(ETS)가 개발한 영어시험으로 매년 전세계 응시자들의 성적을 분석한 자료(Worldwide Report)를 발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취업·평가용으로 많이 활용된다.
전체 순위를 보면 영어권 국가인 캐나다가 평군 845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독일(800점), 3위 벨기에(772점), 4위 레바논(769점), 5위 이탈리아(754점) 순이었다.
아시아에서는 필리핀이 727점(7위)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 말레이시아(642점·22위), 중국(600점·30위), 대만(544점·37위), 홍콩(527점·38위), 일본(517점·39위)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 응시생들은 듣기 영역에서 평균 369점, 읽기 영역에서 평균 307점을 받아 총점 평균이 676점이었다. 총점은 2016년(679점)보다 3점 내려갔다.
전 세계 토익 응시생을 연령별로 나눴을 때 21~25세가 39.4%로 최다였다. 이어 △20세 이하(21.9%) △26~30세(15.0%) △31~35세(7.8%) △45세 이상(6.0%) △36~40세(5.7%) △41~45세(4.2%) 순이었다. 성적은 26~30세가 636점으로 가장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54.5%, 여성이 45.5%였다. 성적은 여성(592점)이 남성(564점)보다 높았다.
또한 TOEIC 응시자들이 학습 시 가장 중요시하는 영어 능력으로는 △듣기/말하기(23.4%) △듣기/읽기/말하기/쓰기(20.8%) △읽기(17.4%) △말하기(15.9%) △듣기(12.7%) △읽기/쓰기(6.7%) △쓰기(3.1%)가 뒤를 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