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시작하기로 합의한 통신3사는 5G 상용전파 송출시점을 오는 12월1일로 잠정적으로 잡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5G 전파를 첫 송출하기로 예정됐던 2019년 3월보다 4개월가량 앞당긴 것이다.
17일 서울 여의도 메리어트파크센터에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만난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과 황창규 KT 회장,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 등 통신3사 최고경영자(CEO)는 세계 최초로 '5G 동시 상용화'에 합의하면서 첫 전파 송출시점도 이처럼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
이날 복수의 이통사 관계자들에 따르면 통신3사는 5G 상용전파 첫 송출시점을 오는 12월1일로 잡고 있다. 정부가 할당한 5G 주파수 사용시점도 12월1일로 명시돼 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도 크게 부인하지 않았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국장은 "통신3사의 5G 전파 사용시점은 12월1일이고, 주파수 대역도 3.5기가헤르츠(㎓)로 동일하다"면서 "모든 조건이 갖춰지면 첫 상용전파 송출시점을 3사가 합의해 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통신업계 고위관계자도 "사실상 12월1일 첫 송출될 것"이라면서 "6월 주파수 경매 종료 이후 3사가 모두 12월1일을 목표로 상용전파 송출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불과 1~2분 차이로 세계 최초 타이틀을 두고 신경전을 벌일 필요가 없다고 판단해 공동 개시에 합의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용전파 송출은 동글(외장형 주변장치) 하나로도 가능하다. 4G 롱텀에볼루션(LTE) 전파를 첫 송출할 때도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2011년 7월1일 자정 LTE동글에서 쏜 전파를 '세계최초 상용화' 시점으로 공식 기록했다.
다만 이 상용전파 첫 송출과 실제로 5G에 가입하는 것과는 시기상 차이가 있다. 실제로 5G에 가입하려면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이 상용화돼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진정한 의미의 상용화 시점은 당초 예정했던 2019년 3월 이후가 될 전망이다.
통신사 고위관계자는 "진정한 의미의 상용화는 5G용 스마트폰이 출시돼야 가능하다"면서 "무엇보다 전국망이 구축돼야 실질적인 5G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5G가 대중화되는데는 더 많은 시일이 걸릴 전망"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