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 대전 지방조달청 비축 창고를 방문해 보관 중인 비축물자 확보 현황을 보고 받고 정부 방침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248/art_16384004680904_c7c212.jpg)
【 청년일보 】정부는 11월 소비자물가 오름폭이 10월보다 확대되겠지만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 안정적 물가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를 열고 "석유류 가격 상승과 외식·가공식품, 채소류 가격 상승 등으로 10월에 비해 오름폭이 커졌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전 세계적 물가 오름세 속에 우리 경제 상황은 주요국 대비 낮은 상황이라며 "12월에는 국제유가 상승세 진정, 유류세 인하 효과, 김장 조기 종료 등으로 상승 폭이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홍 부총리는 "10월까지 누적 물가 상승률이 2.2%로 연간으로 한국은행(2.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4%) 전망치와 유사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유류세 인하 효과 신속 반영...물가 안정적 관리 최우선
홍남기 부총리는 물가 안정 관리와 관련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상화에서도 위기관리에 집중해 유류세 인하 효과 등의 신속 반영 등 가용한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홍 부총리는 "10월 산업생산·투자 지표에서 보듯이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코로나 돌파 감염 확대, 오미크론 변이 확산 우려 등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면서 "경기 회복 흐름을 이어가기 위한 내수·투자·재정집행 등 막바지 대응에도 총력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물가동향을 경제중대본회의 정례 안건으로 올리고 분야별 물가 부처 책임제 도입, 지자체 물가상황실(TF) 가동 등 내년 상반기까지 물가 대응 역량을 총집중해 나가기로 했다.
또 우선적으로 유류세 인하 효과 신속 반영을 위해 자영주유소 가격 인하를 독려하고 일부 도심 내 알뜰주유소 확대를 위해 현행 1㎞인 이격거리 요건을 폐지하기로 했다.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규모를 확대하고 12월 중 가격급등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확대 규모 확정, 면세농산물 의제매입세액 공제율·한도 특례기한 2년 연장 등 조처를 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항공·면세업계 지원을 위한 공항시설 사용료 및 상업·업무용 시설 임대료 감면 기간을 내년 6월까지 6개월 연장하는 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홍 부총리는 "12월 내내 서민들의 생활물가가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되도록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