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열린 한-호주 정상 기자회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11250/art_16394413570614_3dd0b1.jpg)
【 청년일보 】 한국과 호주는 양국간 방위산업 협력 촉진을 위한 방산 공급망 강화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함께 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14일 한국과 호주가 문재인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공동성명'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과 모리슨 총리가 성명을 통해 양국의 협력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안보, 국방, 사이버 및 핵심 기술, 보건, 국경 보호 및 개발 협력으로 확대하는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국은 양국의 방위산업 간 긴밀한 협력을 촉진해 지역 내 방산 공급망을 강화한다.
앞서 호주의 방사청 격인 획득관리단(CASG)은 전날 양국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의 K-9 자주포를 도입하기로 하고 약 1조9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양국은 역내에 투명하고 공평한 백신 공급을 위해 조율하며 기여한 것을 높이 평가하며 이후에도 백신 협력 증진을 포함한 코로나19 대응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는 양국 정상 모두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공동 대응을 통해 위기 상황의 조시 종식과 함께 향후 지속적인 보건 안전과 관련한 협력관계를 지속해 가는데 합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공동성명에서 남중국해 문제를 명시했다.
모리슨 총리는 전날 한-호주 정상회담에서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안보 동맹)와 쿼드(Quad, 미국·일본·인도·호주 협의체) 등 중국에 대한 견제 협의체의 중요성을 부각한 바 있다.
앞서 미국과 유럽연합(EU)은 2일(현지시간) 고위급협의를 통해 '중국이 남중국해에서 국제법을 위반한 일방적 행위를 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하는 등 이 지역 분쟁을 두고 미중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남중국해 문제까지 명시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공동성명에는 "호주와 대한민국은 인도-태평양의 안정이 남중국해를 포함한 해양 영역에서의 국제법 준수에 달려있다는 점을 인식한다"며 "(양국) 정상들은 분쟁이 유엔해양법협약을 포함한 국제법에 따라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문구가 실렸다.
한편 양 정상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도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거듭 강조했다.
양 정상은 2018년 판문점 선언, 평양 공동선언 및 싱가포르 공동성명 등 기존의 합의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구축에 대한 의지를 강조했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