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홍콩 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사태 이후 ELS 수요가 줄어들면서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1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22일 '2024년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을 발표하고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이 73조6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5조3천억원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환액은 전년 대비 1조2천억원 감소한 82조7천억원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파생결합증권 잔액은 전년 말 대비 12조7천억원 감소한 81조6천억원으로 2014년(84조1천억원)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ELS 발행액은 55조2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7조6천억원 감소했다. 금감원은 "홍콩 H지수 사태로 인해 ELS 수요가 지속해서 위축되고, 주요 은행이 ELS 판매를 중단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원금 지급형 비중은 2023년 51.2%에서 지난해 70.9%로 크게 증가했고, 공모 발행 비중은 같은 기간 94.2%에서 91.6%로 소폭 감소했다. 기초자산 유형별로 보면 지난해 지수형 ELS 발행액은 19조6천억원(35.5%)으로 비중이 전년(51.3%)보다 15.8%p나 줄었다. 반면 종목형 ELS 발행액은
【 청년일보 】 동양생명이 사망보험금 체증 및 연금전환 등으로 노후보장을 강화한 종신보험을 내놨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동양생명은 저해지(해약환급금 일부지급형) 구조로 보험료 부담은 낮추면서 노후보장은 강화한 ‘(무)수호천사5배더행복한종신보험’을 출시해 선보이고 있다. 사망보장을 주계약으로 하는 15년납인 해당 상품은 납입기간 동안 표준형 해약환급금의 일부를 지급하는 저해지 구조를 적용했다. 보험료 납입완료 시점 이후부터는 해약환급금을 15년 시점의 표준형 해약환급금의 100%로 고정해 지급하는 방식으로 설계해 표준형 대비 보험료 부담도 낮췄다. 또한 15년납 상품으로 설계된 만큼 오랜 기간 보험을 유지한 고객을 위해 납입 10년 및 15년 시점에 장기유지보너스를 지급하며, 이에 따라 10년 경과 시 최대 110%, 15년 시점에는 최대 120% 수준의 환급률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무)수호천사5배더행복한종신보험’은 사망보험금 체증과 연금전환 기능을 통해 물가상승에 따른 보험금의 실질가치 하락을 보완하고, 미래 리스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해 고객의 안정적인 노후 보장을 지원한다. 해당 상품의 사망보험금은 가입 1년 후부터 증가해 10
【 청년일보 】 ABL생명이 장기요양 및 치매보장을 강화한 상품 등을 선보였다. 2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ABL생명은 장기요양·치매보장을 강화한 '(무)ABL우리가족THE케어간병보험(해약환급금 미지급형)'과 방카슈랑스 전용 '(무)더나은ABL안심보험(해약환급금 일부지급형)' 등 보장성 보험 신상품 2종을 이달 1일부터 출시해 선보이고 있다. ABL생명이 이번에 선보인 '(무)ABL우리가족THE케어간병보험(해약환급금 미지급형)'은 장기요양등급 단계별 보장은 물론 선택특약 가입 시 재가급여, 시설급여, 간병인 비용까지 폭넓게 보장해 초고령화 시대에 대비한 노후 건강과 간병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주계약 가입 시 피보험자가 보험기간 중 ‘1~2등급 장기요양상태’로 판정받을 경우, 최초 1회에 한해 진단급여금을 지급한다. 또한 별도 특약 가입을 통해 질병 또는 재해로 인한 입원 중 간병인 사용 비용 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용 비용을 1회 입원 당 최대 180일 한도로 보장해 준다. 치매 관련 특약도 신설돼 경도 치매부터 중증 치매까지 단계별 진단급여금과 치매의 직접 치료를 위한 통원급여금도 지원한다. 이외 ▲대상포진 ▲통풍 ▲중증 무릎관절연골손상
【 청년일보 】 동양생명이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대응하고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보다 혁신적인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모바일 앱과 웹 그리고 홈페이지를 포함한 대고객 온라인 채널인 '마이엔젤'을 21일 선보였다. 이번에 전면 개편된 온라인 채널은 '누구나 더 쉽고 편리하게'라는 고객 중심의 철학을 바탕으로 보다 직관적인 디자인과 향상된 기능 그리고 편의성 및 사용성이 극대화된 사용자 경험(UX)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한층 새로워진 마이엔젤은 업무, 상품, 마케팅 등이 모두 결합된 통합 디지털 채널로, 고객들이 모바일 앱과 웹, 홈페이지 등 모든 채널에서 채널 간 기능이나 서비스 차이 없이 일관된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특히 마이엔젤 내 고객 히스토리 공유를 바탕으로 고객 업무의 연속성을 향상시켰다. 마이엔젤 이용에 어려움을 겪거나 기타 이유로 업무가 중단될 경우 콜센터 상담원 연결을 이용하면 고객 여정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이어서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됨에 따라 고객 경험이 대폭 개선됐다. 또 기존 모바일 앱과 웹, 홈페이지 등 채널별로 관리되던 고객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분석해, 고객 니즈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 청년일보 】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는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를 통해 대형 산불로 피해를 입은 경북 영양, 의성, 청송군 주민을 위해 희망하우스 20동을 지원했다고 21일 밝혔다.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는 손해보험 사회공헌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협의체로 손해보험협회와 19개 손해보험사 대표이사로 구성됐다. 희망하우스는 수납공간이 포함된 방과 주방, 화장실과 단열 기능을 갖추고 단지형으로 조성됐다. 경북 영양에 5동, 의성에 10동, 청송에 5동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병래 의장은 "갑작스러운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피해지역 주민분들께 위로를 전하며,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가시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2023년부터 총 30억원을 기부해 재난 피해 지역에 이동식 거주시설인 희망하우스를 제작, 지원해왔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기업들이 비용 절감 차원에서 신규 법인카드 발급 신청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이하 한은)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월 한 달 동안 법인 신용카드 발급은 1만1천627장으로, 지난해 12월(1만1천649장)보다 22장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18년 5월(-12장) 이후 약 7년 만의 첫 감소다. 1월 기준 감소로는 신용카드 대란 대인 2004년 1월(-120장) 이후 21년만에 처음이다. 법인 신용카드의 이용금액도 증가세가 다소 꺾인 모습이다. 지난 1월 총 이용금액은 17조541억원으로 전월(19조647억원)보다 크게 줄었다. 법인 신용카드는 통상 사업자등록번호를 가진 법인 명의로 발급되는 카드를 말한다. 법인 통장 계좌와 연동해 결제 금액을 회사 비용으로 처리한다. 이같은 카드 발급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그만큼 일선 기업들이 경기 악화 등을 고려해 비용 절감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실제 한은이 발표한 지난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보다 1.4포인트(p) 하락한 85.9로, 2020년 9월(83.4)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중장기적으로 향후 법인 신용카드 이용금액 정체
【 청년일보 】 국내 카드사들은 올해 실적 전망에 대해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의 카드론 규제 및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등에 따라 업계 안팎으로 성장에 발목이 잡혔다는 우려가 나온다. '씀씀이' 줄이는 기업들...법인카드 발급 7년만에 감소 21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업카드사들의 당기 순이익은 2조5천910억원으로 전년(2조5천823억원) 대비 0.3%가량 증가하면서 제자리 걸음에 그쳤다. 카드대출 및 할부카드 수수료 수익, 가맹점 수수료수익이 증가했지만, 이자비용 및 대손비용이 상승하면서 소폭 증가하는데 머물렀다. 카드사들은 현재 본업인 신용판매보다 카드대출에서 더 많은 수익 증가를 시현하는 모습이다. 지난해 전업카드사들의 가맹점 수수료 수익은 전년 대비 670억원 증가한 데 반해 같은 기간 카드대출 및 할부카드 수수료 수익은 각각 4천673억원, 2천897억원 늘었다. 그런 가운데 최근 정부의 금융권 대출 관리에 따른 카드론 규제는 카드사들에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전업카드사들을 대상으로 올해 카드론 관리를 위한 연간 계획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은행 및 제2금융권 대출과 함께
금융업권의 올 1분기 실적 전망이 속속 나오고 있다. 국내 4대 금융지주는 올해도 호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증권 및 보험업계는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다소 악화할 것이란 예측이 제기된다. 은행·증권·보험 등 각 금융업권별 올 1분기 잠정 실적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上) 은행권, 1분기 이자이익 확대에 ‘호실적’...경기부진·상생금융 압박 우려 점증 (中) 주요 증권사 1분기 실적 전망 ‘주춤’...미래에셋증권, 나홀로 선전 (下) 주요 생·손보사 1분기 실적 저조…전년 동기 대비 '급감' 우울 【 청년일보 】 주요 보험사들의 올 1분기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보험사 전반적으로 예실차가 악화했으며 계리적 가정 가이드라인에 의해 신계약 CSM(계약서비스마진)이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 올 1분기 삼성화재·DB손해보험 등 주요 손보사 당기순이익 전년 대비 ‘뚝’ 20일 보험업계 등에 따르면 올 1분기 삼성화재의 당기순이익 전망치는 5천84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7천10억원) 대비 16.7% 감소한 수치다. DB손해보험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 역시 4천81억원으
【 청년일보 】 유럽중앙은행(ECB)이 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ECB는 지난 17일(현지 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통화정책 이사회를 열고 예금금리를 연 2.50%에서 2.25%로, 기준금리를 연 2.65%에서 2.40%로 각각 내렸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ECB 통화정책 기준인 예금금리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4.25∼4.50%)의 격차는 2.00∼2.25%포인트로 벌어졌다. 이날 동결된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와는 0.50%포인트 차이다. ECB는 지난해 6월 통화정책 방향을 전환한 뒤 지난해 9월부터 6차례 연속 정책금리를 인하했다. 예금금리는 지난해 6월 4.00%에서 10개월 만에 1.75%포인트 떨어졌다. 지난달 회의 때는 통화정책이 유의미하게 덜 제약적으로 되고 있다며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후 본격화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 경제가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정책금리를 재차 인하했다. ECB는 이날 통화정책 자료에서 "무역긴장 고조로 유로존 성장 전망이 악화했다"며 "증가하는 불확실성이 가계와 기업의 심리를 위
【 청년일보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보다 높은 관세로 물가 인상과 성장 둔화가 예상된다면서 연준이 물가와 성장 중 어디에 더 초점을 맞출지 선택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17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파월 의장은 지난 16일(현지 시간) 일리노이주의 시카고 이코노믹클럽에서 한 연설에서 "관세는 최소한 일시적으로 인플레이션의 증가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까지 (행정부가) 발표한 관세 인상 수준이 예상보다 훨씬 높다"면서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마찬가지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인플레이션 상승과 성장 둔화를 포함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우리는 양대 목표(최대 고용·물가 안정)가 (서로) 긴장 상태에 놓이는 도전적인 시나리오에 직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만약 그런 일이 일어나면 우리는 경제가 각 목표로부터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 각 (목표와 현실 간) 간극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최대 고용을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는데 경제 성장을 촉진해 고용
【 청년일보 】 은행에서 특정 보험사의 상품을 25% 넘게 팔 수 없도록 한 '방카슈랑스 판매 규제'가 20년 만에 손질된다. 금융위원회는 16일 정례회의를 열고 '금융기관보험대리점(방카슈랑스)의 판매비중 규제개선' 등 96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신규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혁신금융서비스는 금융기관보험대리점에서 보험상품 모집 시 적용되는 판매비중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이다. 금융기관보험대리점에서 특정 보험사 상품을 25% 넘게 팔 수 없도록 하는 판매 규제는 2005년 이후 약 20년간 이어져 오고 있다. 금융기관보험대리점은 이러한 규제 준수를 위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이 있어도 인위적으로 판매를 억제하거나 다른 상품을 권유하는 상황이 지속돼왔다. 이에 금융위는 참여 보험회사 수 등을 감안해 규제 비율을 33~75% 수준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판매비중 규제를 개선해 소비자에게 최적의 보험상품을 권유하고 소비자 선택권을 강화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책성 보험인 풍수해보험 모집실적을 판매비중 산정 시 제외하도록 해 정책성 보험 활성화도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신정아 기자 】
【 청년일보 】 최근 엔화 강세가 두드러지는 추세에도 일본 여행 수요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하나카드가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3개월간 국내 고객의 일본 현지 카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용 고객 수는 33만366명, 이용 금액은 약 2천275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17.3%, 15.0% 늘었다. 하나카드 트래블로그의 환전 건수와 환전 금액 역시 151만7천215건, 약 1천928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2.6%, 3.4% 증가했다. 앞서 일본정부관광국(JNTO)은 올 1월 한국인 방문객 수가 96만7천1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늘어 월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다만 원/엔 환율이 1,000원을 돌파하는 등 엔화 강세가 가팔라진 만큼 일본여행 수요가 향후에도 지속될지는 미지수다. 원/엔 환율은 지난해 6월 100엔당 850원대로 바닥을 찍었다가 지속해서 올라 이달 들어 1,000원을 넘겼다. 실제 지난해 12월부터 올 2월까지 일본 카드 이용 고객과 이용금액은 전년 대비 늘었지만, 1인당 이용금액은 68만8천514원으로 전년 동기(70만2천441원) 대비 2% 줄었다. 같은 기간 트래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