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9월 21일은 '청년의 날'이다. 2020년 9월 처음 시작된 청년의 날은 어느덧 5회째를 맞이했다. 청년의 날은 청년기본법 제7조에 따라 제정된 법정기념일이다. 청년의 권리 보장 및 청년 발전의 중요성을 알리고, 청년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매년 9월 셋째 주 토요일에 열린다. 청년의 날이 법적으로 지정됨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안정적인 예산 확보와 행사 지원이 가능해졌고, 청년의 날을 기념해 많은 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주 행사는 국무조정실 주도로 올해는 여의도 문화의 광장에서 '청년, 함께'라는 메인 키워드와 '성장, 공유, 동행'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All Ways with You(th)'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된다. 청년들을 위한 행사가 열리는 것과는 별개로 최근에도 청년들이 직면한 현실은 여전히 녹록하지 않음을 말하는 사회 기사면을 마주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23만8천명 중 3년 이상 취업 준비 없이 보낸 청년이 8만2천명에 달한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 중 가장 큰 수치다. 더욱 심각한 것은 '쉬었다'라고 대답한 청년(15~29세) 중 75%가 '일할 생각이
【 청년일보 】 최근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일도 하지 않고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대졸 이상 청년 인구가 400만명을 넘어섰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당시보다도 높은 수치로, 노동시장의 활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청년들의 '쉬었음' 현상은 단순히 개인 문제로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사회 구조적 문제일까? ◆ 개인의 문제인가? 많은 이들이 청년들의 '쉬었음' 현상을 개인의 문제로 간주한다. 청년들이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거나, 직장에서의 부당한 대우와 고된 업무 환경 때문에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두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최근 KBS 추적 60분에서는 <'쉬었음' 청년 70만, 저는 낙오자인가요?> 편이 방송됐다. 다양한 청년들의 삶을 조명했다. 출연한 한 명문대 졸업생은 전공과는 다른 분야에서 일하다가 부당한 대우와 과도한 업무에 지쳐 퇴사했고, 또 다른 청년은 이민의 꿈을 위해 대기업을 퇴사했지만 그 꿈을 이루지 못하고 여러 차례의 쉬는 기간을 거치고 있다. 진로를 탐색하는 기간에 새로운 도전을 하는 등 다양한 개인의 선택 이유로 쉬는 시간을 보내고 있다. 단순히 일을 못 구해서 ‘쉬었음‘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다소 한
【 청년일보 】 최근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자가 105만명에 이르렀다. 출시 3개월 만에 100만명을 돌파하며 잠시 주춤했던 청약통장의 인기가 다시 상승하고 있다.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총 급여액이 5천만원 이하인 만 19~34세 무주택자가 가입할 수 있다. 기존에는 연 소득이 3천500만원 이하인 경우에만 가능했으나, 이번에 5천만원으로 완화됐다. 또한, 이자율은 최대 연 4.3%에서 4.5%까지 높아졌고, 납입한도도 월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확대됐다. 일반 은행 적금상품보다 높은 금리와 한도 수준이 매력적이라 많은 청년들이 가입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당장 내 집 마련계획이 없고 한 푼이 아쉬운 2030세대는 청약통장에서 고금리 예·적금 특판상품으로 갈아타는 분위기도 있다. 부동산 어플리케이션 다방이 올해 3천1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택청약제도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2030세대 약 40%가 '주택청약제도는 실효성이 없다'고 답했다. 청약통장을 한 번도 개설한 적이 없거나 중도 해지·해지 예정이라고 응답한 비율도 전체의 24.7%에 달했다. 청년들은 좋은 혜택이 있는 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고 있지만 결국 청약저축 가입기간에 따
【 청년일보 】 오늘날 청년들은 많은 기회와 선택의 가능성 속에서도 불확실한 미래와 경제적 부담 앞에 결혼과 출산 같은 중요한 인생의 선택들을 과감히 미루거나 포기하고 있다. 최근 학술지 한국사회복지학에 '청년들은 무엇을 포기하고 있는가' 제목으로 실린 연구결과에 따르면, 20대 초반 청년 중 절반 가까이가 이러한 결정들을 계획하지 않고 있으며, '결혼·출산 포기형' 청년이 전체의 50.4%에 이르렀다. 자체적으로 900명 대상으로 한 열고닫기 서베이 '청년들이 생각하는 출산·육아에 대한 생각은?'에서도 미혼 청년의 경우 46.5%만이 출산에 대한 계획이 있다고 느꼈다. 특히 미혼 여성 중 64%가 출산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결정하지 못했고, 그 이유로는 경제적 부담 및 개인 시간에 대한 우려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단순히 출산과 육아에 한정되지 않는 문제이다. 연애, 취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청년들이 포기하는 결정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개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중시하는 동시에 경제적 부담을 회피하려는 경향의 반영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적 선택의 영역을 넘어, 사회 구조적인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용 불안정, 주거 문제, 교육비 부담 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