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대상포진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중 하나인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바이러스는 어릴 적 수두를 앓은 후부터 잠복해 있다가, 숙주의 면역력 약화에 따라 재활성화되며 대상포진을 발병시킨다. 흔히 대상포진은 노인들의 질병으로 여겨진다. 실제로 대상포진 환자들은 60대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백신 접종도 50세 이상의 성인에게 권장된다. 하지만 최근 젊은 층에게 대상포진 발병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면역력과 관련 있는 질환이므로, 과로와 스트레스, 수면 부족에 따른 면역 저하가 대상포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젊은 층들도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 발병 시 치료 및 대처법, 예방법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다. ◆ 초기증상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은 발열과 전신 피로감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감기와 구별이 어렵기에 특히 독감과 감기 발생이 잦은 겨울철에는 증상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이외에도 대상포진은 피부 증상이 나타나는데 붉은 반점, 수포와 농포, 감각 이상, 딱지 등이 발생하고 통증이 생긴다. 신경줄기를 따라 수포가 생기기에 갈수록 통증이 심해진다. 병이 진행되면 신경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 청년일보 】 '가을 날씨'가 지속되고 있다. 이제는 예전과 같이 사계절이 뚜렷하지 않다고 하지만, 여름보다는 차갑고 겨울보다는 따뜻한 날씨를 느낄 수 있다. 가을은 '일교차'와 '야외 활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난달 25일 기준 서울의 기온은 최저 9도, 최고 22도로 13도의 차이가 있었다. 아침에는 추워서 패딩 점퍼를 입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오후에는 반소매 옷을 입고 걷는 사람들도 많았던 날씨였다. 일교차가 커지고 점점 추워지면서 호흡기 질환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또 덥고 습한 날씨에서 벗어나면서 야외 활동의 빈도가 증가했다. 주말마다 각 지역의 축제, 생태 공원들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이에 감염병, 전염성 질환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대표적인 질환은 감기와 쯔쯔가무시병이다. 이 두 질환은 예방 수칙 준수를 통해 어느 정도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므로 잘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감기 가장 흔한 가을철 전염성 질환은 감기다. 일교차가 커지면서 각 동네의 병원들은 감기 환자들로 북새통이다. 감기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병하지만 연령, 환경, 계절(환절기), 면역력에 따라 발병 여부와 증상이 달라진다. 가장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