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최근 방영된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는 긴박한 외상 상황을 다루며, 극적인 치료와 병원 내 복잡한 상황을 그려내며 많은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드라마는 중증 외상 환자들을 치료하는 전문 외상센터의 역할과, 의료진들이 생사의 기로에 놓인 환자들을 어떻게 살리고자 하는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하지만 현실의 한국 의료 환경과 비교했을 때, 드라마가 보여주는 모습과 현실적인 문제들 간의 괴리가 여실히 드러난다. '중증외상센터'에서 등장하는 외상센터는 최첨단 장비와 뛰어난 의료진들이 긴박한 상황 속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펼치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의 중증외상센터는 이러한 이상적인 모습과는 거리가 멀다. 한국에는 2017년부터 중증외상센터를 운영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전국적으로 1~2개의 외상전문센터에만 집중되는 상황이다. 더욱이 외상센터가 위치한 대도시나 대학병원에 집중돼 있어, 지방에서는 접근성이 떨어진다. 특히, 외상 환자들은 사고 직후 골든타임 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실제로는 환자들이 병원에 도착하기까지의 시간이 너무 길어져 치료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병원 간의 이송 체계와 협력
【 청년일보 】 서울시에서 고독사로 인한 사망자 수가 4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17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2023년 고독사로 인한 사망자가 559명으로 이는 전년도인 2022년보다 119명 감소한 수치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고독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 2022년 10월에는 전국 최초로 고독사 위험 1인 가구 모니터링을 위해 '사회적고립가구지원센터(이하 센터)'를 설립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던 '스마트플러그 지원사업'을 24시간 체제로 확대하였다. '스마트플러그'란 사물인터넷(IoT)를 이용해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 자주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해 사용하는 장치로 전력량과 조도 변화를 모니터링해 위험신호를 감지하고, 현장출동을 통해 고독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스마트플러그 설치는 해당 자치구에서 실태조사한 고독사 위험가구를 대상으로 동주민센터에서 참여 의사를 확인 후 선정하는 방식이다. 만약 주변에 사회적 고립이 우려되는 이웃이 있거나 가족이 있다면, 해당 동주민센터에 문의하면 된다. 센터가 발표한 과정공유회에서는, 고독사 고위험 3천445가구의 24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3만2천433건의 고독사